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서론
一. 1920년대 사회주의운동
二. 대중운동의 고양
三. 제주야체이카의 재결성과 그 노선
四. 야체이카의 지도하에 전개된 대중투쟁
결어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CHEJU ISLAND
Korea Journal
1965 .08
제주, 하나 둘 셋 외 1편
시조시학
2014 .02
민요 요사 속에 담긴 유별난 제주 방언
동악어문학
1994 .12
The Vowels of Cheju
언어
2001 .12
제주교회사의 유적을 찾아
한국기독교와 역사
1994 .12
제주 4·3관련 위령의례의 변화와 종교적 의미
종교연구
2007 .09
제주 방언의 모음 조화 연구
언어학
1997 .12
시의 언어, 그리고 제주
시조시학
2018 .12
일제강점기 유학적 지식인의 사회주의 수용과 민족운동 : 1920년대 경북 남부지역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4 .12
An Acoustic Study of the Cheju Dialect in Korean
언어
1980 .06
제주대학교 교양영어교육의 현황진단과 방향제언
영어영문학
2007 .06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of Japanese Imperialist Rule in Korea from 1905 to 1945
Korea Journal
1996 .03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제주 4・3 사건 서술 내용과 향후 집필 방향
탐라문화
2018 .01
제주 지역 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방안 : 제주국제자유도시 시대와 관련하여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3 .11
일제강점기 제주 독립운동의 지형과 독립유공자 현황 분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3 .12
일제시대하의 사회주의 형성과정과 언론의 기능(1920~1945)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95 .12
제주 4 · 3과 시적 재현
시조시학
2018 .09
제주 4ㆍ3 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회보
1992 .09
An Acoustic and Aerodynamic Study of Consonants in Cheju
음성과학
2000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