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撰述의 時代的 背景
Ⅱ. 《戒學約詮》의 內容
Ⅲ. 石顚의 《戒學約詮》과 계율사상
Ⅳ.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보살계(菩薩戒)의 전개와 발전에 대한 일고(一考) : 10선계(善戒)에서 10중(重)48경계(輕戒)까지
불교학보
2010 .02
正祖 聖學의 性格
민족문화
2000 .12
中原高句麗碑文의 解讀과 吏讀的 性格
고구려발해연구
2000 .12
朝鮮後期 儒學ㆍ西學間의 敎理論爭과 思想的 性格
교회사연구
1979 .04
1920年代 初期詩의 浪漫的 想像力과 그 歷史的 性格
한국학논집
1979 .12
[특집]세계 속의 퇴계학
오늘의 동양사상
2001 .03
[특집]퇴계학, 그 존재를 묻는다
오늘의 동양사상
2001 .03
[論과 爭] '퇴계학', 그 존재를 다시 묻는다
오늘의 동양사상
2004 .03
[특집]퇴계와 퇴계학 그리고 퇴계학 연구
오늘의 동양사상
2001 .03
淸代 彈詞의 敍事的 性格과 劇的 性格
중국문학
2009 .01
퇴계학의 교육적 활용 방안
안동학
2017 .12
석전(石顚) 박한영(朴漢永)의 저술 성향과 근대불교학적 의의
불교학보
2007 .02
퇴계학의 현대화 · 일상화 · 대중화 방안 : 퇴계학에서 퇴계문화로
안동학
2017 .12
韓國 敎의 思想的 性格
불교연구
2006 .01
동물해방과 불살생
불교학보
2005 .08
高句麗 貴族會議의 成立過程과 그 性格
한국고대사연구
1997 .02
〈定靜要論〉의 成立過程과 그 性格
도교문화연구
199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