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개요]
서론
1. 공론장에 대한 하버마스의 재평가
2. 개인화된 자아의 등장
3. 비판적 문화운동의 가능성
4. 철학적 비평의 의미와 역할
5. 합의와 인정의 메커니즘으로서의 공론장
6. 결론을 대신하며 : 가능성들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하버마스의 문화적 커뮤니케이션론에 관한 연구
대동철학
2004 .01
사적인 언어의 정치화와 공론장 : 하버마스와 아렌트를 넘어
사회와 철학
2011 .10
사회비판이론(critical social theory)으로서의 하버마스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
철학탐구
2014 .11
하버마스의 합의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윤리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1998 .06
하버마스(J. Habermas)의 현대복지국가 비판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문화
1999 .12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과 유교적 공론
사회와 철학
2013 .10
이론/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과 푸코 비판
문화과학
1995 .02
생활세계와 체계 - 하버마스의 이단계 사회이론과 그에 대한 비판에 대한 재고찰 -
철학
2020 .08
‘시민적 공론장’ 개념을 통해 본 밀(J. S. Mill)의 ‘자유주의 이론’에 대한 고찰 : 하버마스(J. Habermas)의 『공론장의 구조변동』에 나타난 논의를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0 .07
비판의 공공성, 전쟁의 정치 : 하버마스와 슈미트 사이에서
사회와 철학
2014 .04
새장르 공공미술의 정치철학 :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2013 .04
비평의 장소와 비평(가)의 임무 : 사회인문학적 지평에서 ‘비평의 가능성’을 음미하기
사회와 철학
2011 .04
Aura 개념을 통한 하버마스의 뒤르케임 수용과 재구성
대동철학
2004 .01
하버마스 언어철학의 전체론적 특성
사회와 철학
2005 .10
공론장(公論場)의 형성 과정 안에서 본 문학의 사회철학적 의미 :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2 .04
체계합리성과 절차적 합리성 : 루만(Luhmann)의 체계이론에 대한 하버마스(Habermas)의 비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1996 .12
철학적 시간론
현대유럽철학연구
2019 .01
한국 공론장의 원형 재구성 시도와 사회 · 정치철학적 함축
사회와 철학
2013 .10
1950~60년대 신비평의 수용과 새로운 비평의 모색
한국근대문학연구
2004 .04
하버마스는 과연 주체철학을 극복하였는가? : 의식철학의 위기와 담론이론
철학논총
1995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