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정신문화연구 2000 여름호 제23권 제2호 (통권 79호)
발행연도
2000.6
수록면
147 - 167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During 1927-1935,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Silrok under the Iwangjik(李王職錄編纂委員會) collected about 6,000 books, published about 300 books, and produced hundreds of official documments. During 1936-1938,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Kukjobogam(國朝寶鑑編輯委員會) also produced hundreds of documments.
These materials show how the formation of Changsogak-materials(藏書閣資料) w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e can also underst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cultural rule during 1920-1930'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Changsogak-materi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order to explain Changsogak itself and colonial period in Korean history. The compilation Of Kojongsunjongsilrok(高宗純宗實錄) and Kojongsunjongkukjobogam(高宗純宗國朝寶鑑)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must be key point for that problem.

목차

Ⅰ. 머리말
Ⅱ. 實錄編纂參考書目錄과 國朝寶鑑編纂關係書類의 서지 사항
Ⅲ. 李王職과 문서 생산
Ⅳ. 高宗純宗實錄과 高宗純宗國朝寶鑑의 편찬 과정
Ⅴ. 高宗純宗實錄과 高宗純宗國朝寶鑑의 편찬과 장서각 자료
Ⅵ. 맺음말
부록
English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151-001722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