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개화사상의 개념
Ⅲ. 박규수의 洋夷에 대한 인식
Ⅳ. 박규수의 開國論의 성격
Ⅴ. 결론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세기 한국에 있어서의 개화사상
철학탐구
1974 .11
[교과서 바로 보기 1] 개화사상과 전통의 문제
내일을 여는 역사
2005 .03
실학과 개화사상
한국사 시민강좌
2011 .02
박규수의 북촌시단 활동–주변 인물들의 자료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018 .01
개화사상의 형성과 근대불교
불교학보
2006 .08
〈闢衛新編評語〉와 〈地勢儀銘幷序〉에 나타난 朴珪壽의 西洋論
역사학보
1990 .09
계몽의 딜레마 : 이광수의 『재생』과 『그 여자의 일생』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09 .08
The Thought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Korea Journal
1984 .12
The Korean Enlightenment : A Re-examination
Korea Journal
1982 .05
역사 속의 박문수와 암행어사로의 형상화
역사와실학
2010 .04
Na Un-gyu`s Film Arirang
Korea Journal
1988 .07
개화사상.개화파의 새로운 인식
사학연구
2001 .05
Poem by Hwang Tong-gyu
Korea Journal
1980 .01
『국체의 본의』에 관한 일고찰
일본문화학보
2018 .02
성격은 변하기도 하고, 변하지 않기도 한다
인물과사상
2015 .01
《이다》에서 본 《이》의 성격
중국조선어문
2000 .05
생각의 사회적 성격
철학연구
1972 .12
개화기시가에 나타난 개화사상연구(II) - 의병가사와 개화가사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
198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