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연구설계와 연구방법
3. 강남희 : “애들을 키웠다는 기억도 없어요”
4. 김하진 : “재테크를 못해서 남편에게 미안해”
5. 송혜영 : “애들도 알아 줄 거야, 엄마가 바쁘면서도 그런 거 많이 챙겼다는 걸.”
6. 비교와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한국여성들의 모성인식에 대한 세대비교연구
페미니즘 연구
2011 .04
다문화 사회와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 : 모성 담론의 재구성과 어머니의 시민권에 관한 고찰
아시아여성연구
2012 .11
대학생 자녀가 쓰는 ‘나의 어머니’ 를 통해서 본 여성의 노동ㆍ모성 그리고 가족 : 페미니즘 페다고지의 적용을 시도하며
아시아여성연구
2013 .11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노릇과 정체성 : 자녀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3 .09
한국 근대 가족의 경계와 그림자 모성 : ‘식모-첩살이’ 경험 여성의 구술생애사를 바탕으로
한국여성학
2015 .09
자녀의 질환에 대한 모성 비난과 ‘아토피 엄마’의 경험
페미니즘 연구
2013 .04
이주공간의 변화에 따른 탈북여성의 모성갈등 양상과 극복과정
한국여성학
2014 .09
유자녀 ‘전쟁미망인’의 재혼과 모성 : 1920년대 출생 여성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5 .03
한국전쟁으로 인한 남성부재와 여성 생계부양노동의 의미 : 1920년대 출생 두 여성 노인의 구술생애사 사례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18 .04
분단과 여성의 다중적, 근대적 정체성 : 1930년대 초 출생한 두 실향민 여성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3 .03
여성의 시각에서 본 ‘모성론’
여성과 사회
1995 .06
‘저출산’과 한국 모성의 젠더정치
한국여성학
2005 .12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경험의 구성과 행위성
한국여성학
2014 .03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과 돌봄의 젠더화 :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07 .10
모성의 (비)자연사 : 모성의 생물학과 모성의 사회학, 세라블래퍼 허디, 『어머니의 탄생: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사이언스북스, 2010)
여/성이론
2010 .12
출산 후 여성의 융합적인 성역할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8 .01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 정체성
한국여성학
2009 .09
다시 생각하는 모성
여성과 사회
1996 .06
[국회여성특별위원회] 모성보호 정책 : 근로여성의 모성보호관련법 중심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1999 .01
완벽성의 강박에서 벗어나 ‘충분히 좋은 어머니’(good-enough mother)로 : 위니캇의 유아정서발달이론과 어머니노릇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13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