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1. 서론
2. ‘문학’ 개념의 획정과 ‘주체’의 재구성
3. ‘구아몽(舊阿蒙)’의 해체와 ‘신종족’의 발견
4. 〈무정〉, 감각의 ‘묘사’와 자기제한의 낭만성
5.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문학에 나타난 기생의 이미지 고찰 -이광수의 「無情」과 김동인의 「눈을 겨우 뜰 때」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04 .02
이광수와 근대 주체의 문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6 .06
긍정적 정체성으로서의 근대문학 서술과 근대성의 재의미화 : 1960년대~70년대 초반 문학비평에서의 전통과 근대성
우리말글
2012 .04
문학의 근대성 담론 비판과 탈근대적 실천
문화과학
2000 .06
문학(화) · 식민지 · 근대 - 한국근대문학연구의 새 영역
역사비평
2007 .02
'문학' '史'없는 시대의 문학연구 : 우리 시대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 대한 어떤 소회
역사비평
2006 .05
이광수의 초기 사상과 문학론
비평문학
1997 .07
191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과 한국근대문학의 비(非)민족주의적 기원들 : 기능분화, 감정의 관찰, 표상으로서의 세계문학
비평문학
2012 .09
한국근대문학비평의 근대성 및 주체 문제-1990년대 한국문학비평 연구 동향과 쟁점에 관해-
어문학
2000 .02
끝에서 바라본 한국근대문학
한국근대문학연구
2009 .04
근대/근대성의 문학 연구 과제와 그 전망
동악어문학
1997 .12
근대적 읽기 관습의 창출과 계도적 미학의 길 - 이광수의 문학론과 『무정』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
2013 .01
한국 현대문학의 재영역화와 연구 방향
어문연구
2018 .01
[문학] 문학은 지치지 않는다
창비어린이
2014 .12
문학의 일, 문학은 일
자음과모음
2020 .03
다시,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문학은 무엇이었나?
자음과모음
2011 .11
밤, 항구 그리고 울음 - 박현덕, 『밤 군산항』(문학들, 2020)
시조시학
2020 .06
[문학] 문학이 해야 할 일
창비어린이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