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서론
Ⅱ. 현대러시아어의 관용표현
Ⅲ. 관용구의 의미적 특성
Ⅳ.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현대 러시아어의 존재형태
슬라브학보
1998 .12
성경에서 유래한 현대 러시아어 관용구의 변이성 연구
언어과학연구
2010 .06
러시아어 다의 관용구의 의미 구조 분석 : 뿌쉬낀 작품 속에 활용된 관용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4 .12
СРАВНИТЕЛЬНЫЙ АНАЛИЗ СЕМАНТИКИ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Х ЕДИНИЦ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СОПОСТАВЛЕНИИ С КОРЕЙСКИМ
슬라브학보
1997 .06
한국어와 러시아어 관용구의 비교연구 : 감정표현 관용구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06 .04
Формирование коммуникативной компетенции у корейских студентов через знакомство с русской фразеологией
노어노문학
2011 .09
러시아어와 한국어 관용구 비교 : 감정표현 관용구를 중심으로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05 .11
한국어 관용구의 어휘적 변이형에 관한 연구
돈암어문학
2009 .12
러시아어(Russian)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3 .07
[고찰과 연구] 관용구 《―게 하다》의 의미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05 .03
Русские фразеологизмы, выражающие душевные переживания
슬라브硏究
2015 .01
Изучение особенности библейских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х единиц с ономастическим компонентом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외국학연구
2016 .01
러시아어에서 텍스트-문화적 관용구의 구성과 재구성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06 .01
관용구의 변이형과 사전의 표제어 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사전학
2010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