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는 말
2. 텔레비전 드라마와 여성재현 연구경향
3.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4. 텔레비전 드라마와 30대 미혼여성의 일과 사랑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산자 연구 : 생산과정에 나타난 젠더의 문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11 .06
여성주의적 요구와 가부장적 질서의 동거 : 〈내 이름은 김삼순〉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007 .10
1970년대 드라마 속 여성의 역할과 젠더 재현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2014 .10
2000년대 한국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4 .05
197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 인물과 미디어 비평 : 아씨며 새엄마며 이유 없는 복종에 분노를 느껴라
언론과 사회
2012 .11
여성이미지의 정치적 함의 :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1996 .10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2010 .02
TV드라마와 젠더담론의 균열과 포섭 : 이혼녀와 미혼모의 재현
미디어, 젠더 & 문화
2015 .09
TV 드라마의 젠더 관계 재현 방식 : 연상녀ㆍ연하남 커플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014 .12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 메타분석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3 .02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서사전략
언론과 사회
1996 .06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방송학보
2004 .03
텔레비전 드라마에 묘사된 성역할의 전도(reverse)와 그 함의 : 남성 전업주부 드라마 〈불량주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08 .07
영화에 재현된 노인여성의 성과 사랑
미디어, 젠더 & 문화
2011 .12
새터민 여성들의 드라마 시청과 젠더 담론 수용
미디어, 젠더 & 문화
201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