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한자음의 성격
3. 언어별 시기구분
4. 연구 방법
5. 연구 대상
6. 주요 연구 내용 및 성과
7. 향후 과제
8. 맺는말 : 한자음 연구의 새로운 의미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Liquids in Sino-Korean
언어
1981 .06
Sino-Korean Initials : Their Comparisons with Chinese Dialects and Sino - Japanese
중국어문학논집
1994 .12
한국어 교육용 시사 한자에 관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
2014 .01
漢字語와 固有語 形態素의 結合 樣相 考察(Ⅰ) : 1956, 2005년 語彙 頻度調査를 對象으로
어문론집
2012 .03
한국고대한자 유기음성모의 존재여부
중국어문학논집
2008 .02
『訓蒙字會』의 訓에 실린 한자음 고찰
대동문화연구
2019 .01
개정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고찰
漢字漢文敎育
2007 .01
韓國漢字音에 나타나는 i母音添加現象에 대하여 : 日本漢字音 · 越南漢字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5 .11
Comparing Sino-Koreans and Sino-Vietnamese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09 .08
한자어 문법 단위와 한자어 교육
국어국문학
2006 .05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오류 양상 연구 : 중급 학습자의 작문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4 .06
한문 교육사의 의의와 과제
漢字漢文敎育
2005 .01
한중 한자어 비교사전 구축을 위한 초보적 고찰
한국사전학
2011 .04
일반계 고등학교 한문교육의 실태와 대학 교육의 소통방안
漢文敎育論集
2008 .01
韓 · 日 · 越漢字音での開口2等韻における受容様相の比較考察
일본어학연구
2018 .12
중학교 『漢文』 1, 2, 3 교과서에 수록된 語彙의 한자·한문과의 相關性 연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A출판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2 .01
국어 차용어의 분류에 대한 소고: 한자어의 지위를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사회
2018 .01
한자어 어원의 국어사전 처리 방안 연구
한국어학
2019 .08
한문교과 인지영역 요소의 서술방법과 내용에 대한 고찰
동방한문학
200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