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머리
2. 공감각의 개념과 감각어의 유형
3. 공감각의 언어화 양상
4. 공감각적 표현의 도식
5. 공감각적 은유의 구성
6. 환유에 의해 동기화된 공감각적 은유
7. 마무리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On Synaesthetic Experience : Merleau-Ponty and Neuroscience
Theology and The World
2006 .09
공감각(共感覺) 은유(隱喩)의 구조성(構造性) -현대(現代) 한국시(韓國詩)를 중심(中心)으로-
국어국문학
1970 .09
은유의 언어학적 분석 및 해석
영어영문학
2016 .02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연구 : [정치는 전쟁] 은유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1 .07
개념적 은유에 입각한 언어적 표현에 관한 분석
신학과 목회
2013 .05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은유와 은유 번역 분석 : 대통령과 장관 연설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언어학 연구
2015 .10
A Study on the Conceptual Metaphor of English mind and Korean maum
인문언어
2006 .01
은유의 이데올로기 분석
언어과학연구
2011 .03
인지언어학적 은유에 입각한 디킨슨의 시 분석
영어영문학연구
2002 .01
개념적 혼성에 입각한 은유의 의미구성
담화와인지
2004 .04
햇볕 정책, 그리고 개념적 은유
담화와인지
2015 .12
경제담론 상에 나타난 은유표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언어과학
2016 .01
[젊음]에 대한 개념적 은유
담화와인지
2006 .04
How are conceptual metaphors expressed in different languages?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3 .06
Some Aspects and Models of Metaphor Understanding
언어과학연구
2002 .02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은유 이해에 관한 연구
새한영어영문학
2020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