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권력의 定義와 성격
3. 권력과 개인
4. 비르투(Virtu)와 주권(Sovereignty)
5. 권력과 정치체제
6.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마키아벨리와 스피노자 : 민(民)의 정치사상
정치사상연구
2014 .05
21세기의 마키아벨리
뉴 래디컬 리뷰
1999 .12
홉스(Thomas Hobbes)의 국제정치관에 관한 연구
국제정치논총
2002 .07
마이클 오욱샷의 마키아벨리 정치과학 비판에 대한 小考
국제정치연구
2019 .06
Discourse on Law에 나타난 홉스의 법의 관념
원광법학
2014 .01
시민 덕성, 정체 그리고 마키아벨리
정치사상연구
2014 .05
마키아벨리와 리비우스의 사이에서 : 근대성의 정치철학
한국정치학회보
2009 .12
국가와 공공성 : 마키아벨리의 stato론
정치사상연구
2010 .05
Hobbes의 政治理論
법학연구
1978 .02
홉스와 言語
법정논총
1985 .02
네트워크 권력의 세계정치 : 전통적인 국제정치 권력이론을 넘어서
한국정치학회보
2008 .12
Foucault의 권력 개념과 학교교육
교육사상연구
2009 .01
토마스 홉스의 사회질서관에 관한 분석 평가 : 무질서와 범죄를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2015 .12
홉스에서 숙고와 의무
법철학연구
2001 .12
마키아벨리 공화주의의 도덕 교육 적용 연구 - 『로마사 논고』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2020 .05
정치리더십과 마키아벨리의 네체시타(necessità)
정치사상연구
2011 .05
근대 일본에서의 홉스의 번역과 변용 : 인공 신체로서의 리바이어던은 어떻게 괴물이 되었는가
국제정치논총
2017 .06
`덕`의 정치와 `프로네시스`의 리더십 : 마키아벨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적 리더십 이해에 대한 정치철학적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2014 .06
홉스의 여론관 : 언론자유에 대한 인식의 재평가
한국언론학보
1999 .04
교육 속에 스며 있는 권력
중등우리교육
1998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