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며
Ⅱ. 미술사 교육의 전개
Ⅲ. 교육의 장으로서 미술관
Ⅳ. 미술관, 미술사 교육의 장소인가
Ⅴ.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미술사 교육의 전통과 담론들: 미술관, 미술사, 그리고 교육」에 대한 질의
최은주 선생님의 질의에 대한 답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Glocalization 시대의 현대미술
현대미술학 논문집
2006 .12
독일 현대미술관 연구
조형예술학연구
2005 .01
미술사와 미술관
미술사학
1992 .08
변화하는 문화환경과 미술관의 공공성 문제 : 기획전시를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2007 .12
전통과 현대의 다리를 놓다 : 석남 이경성의 미술사 인식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1 .12
공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소규모 미술관의 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 신체의 운동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5 .06
울산시립미술관 기초성격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10
Mapping the East in the Universal History of Art
현대미술사연구
2007 .12
한국근현대미술사에서 제도에 관한 연구의 검토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2 .12
미술계뮤지엄의 다층화에 따른 동선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유럽 소재 뮤지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0 .04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연구 - CIPP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
조형교육
2009 .01
미술가와 역사-미술사 교육의 한계와 전망
미술이론과 현장
2004 .01
U.S. Museums and Art History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08 .08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 교과서 내용 개선 제안: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의 3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조형교육
2020 .01
북경 소재 예술박물관의 외부환경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4 .02
A STUDY ON UTILIZING VIRTUAL ART MUSEUM FOR ENLARGING VISITOR"S EXPERIENCE IN OFFLINE ART MUSEUM : FOCUS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APPLICATIONS OF KOREAN NATIONAL ART MUSEUMS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10
렌조 피아노 미술관 건축에 나타난 장소의 맥락 연계 방법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9 .12
미학의 시대에서 비평의 시대로 : 아서 단토에 있어서 거대 내러티브의 종말과 그 이후의 미술
현대미술학 논문집
2006 .12
한국의 지방 미술대학에서 실기교육에 대한 미술사 교육의 입지와 역할
미술사학
200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