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러일전쟁 100주년과 한국
2. 러일전쟁은 어떠한 전쟁이었는가
3. 한국인의 러일전쟁 인식과 대응
4. 역사의 거울에 비쳐본 러일전쟁
주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획/러일전쟁 100년]일본: '기억의 장'으로서 러일전쟁
역사비평
2004 .11
러일전쟁 이후 간도영유권문제의 처리
학술대회
2005 .01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
한국사 시민강좌
2005 .02
[기획/러일전쟁 100년]러시아: 러일전쟁 패배를 보는 두 시각 - 비떼와 꾸라빠뜨낀의 논쟁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2004 .11
[기조강연] 100년 후 돌아본 러일 전쟁의 의미
학술대회
2005 .01
“러일전쟁 전후 한국인들의 일본관”
학술대회
2005 .01
일본의 대외전쟁과 대본영의 운영실태 :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1
문학과 경제로 풀어낸 청일 · 러일전쟁 : <청일·러일전쟁 어떻게 볼 것인가: 동아시아 50년전쟁 다시 보기> (하라 아키라 지음, 김연옥 옮김, 살림, 2015)
역사비평
2016 .02
다모클레스의 칼? 러일전쟁에 관한 한국의 인식과 대응
학술대회
2005 .01
전쟁과정 이론을 통해 본 러일전쟁 開戰과정에 관한 연구
군사연구
2014 .01
열강에 의존한 중립화의 한계, 러일전쟁과 고종
내일을 여는 역사
2006 .12
[논문] 러일전쟁기 대한제국 집권세력의 시국대응
역사와현실
1997 .09
최문형,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 - (지식산업사, 2004.4)
역사학보
2006 .03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또는 합방 전후의 소설적 거리 : 『혈의루』와 『졀쳐봉생』의 텍스트 맥락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10 .06
러일전쟁에 대한 미국의 시각과 인식
역사교육
2004 .06
[왜?] 이토 히로부미는 왜 러일전쟁 개전을 반대했던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06 .03
세기(世紀)의 망각(忘却)을 넘어서 - 러일전쟁 100주년 기념행사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200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