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사(書肆)의 풍경과 식민지 근대의 이중성
2. ‘연속‘과 ‘단절‘의 해석공동체 : 신소설과 근대소설의 경계
3. 신소설이 끝나는 곳 : 소설「박명한 미인」의 문학사적 의미
4. 결론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30년대 작가적 자기 인식과 그 문학적 생산력에 관한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1999 .12
미국 〈독자〉의 중국현대문학 〈읽기〉: 문학원론적 고찰
외국문학연구
2000 .12
Rethinking Korean Literary Modernity
Korea Journal
1995 .12
[특집/한국근대문학사 연구의 반성과 전망] 중심을 향한 동경 - 한국근대문학연구의 정치적 무의식
한국근대문학연구
2000 .04
김규동 초기시의 특성과 그 의미
비평문학
2018 .06
설창수론 : ‘전인(全人)’의 문학과 의지의 언어
우리문학연구
2016 .07
근대계몽기 『경향신문』소재 "쇼셜"의 특성 연구
현대소설연구
2004 .12
[특집/한국근대문학연구 비판] 한국근대문학사론과 근대성의 담론들 - 1930년대 후반 비평사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01 .04
문학적 가치 판단의 객관성 문제
새한영어영문학
2003 .11
사회제도 속의 문학생태계와 문학교육의 과제
문학교육학
2013 .01
[특집/한국근대문학사 연구의 반성과 전망] 지워진 여성, 반쪽의 문학사 - 근대문학연구에 나타난 '여성'의 부재
한국근대문학연구
2000 .04
《가톨릭 靑年》의 문학 의식과 문학사적 가치 연구 : 1933년 6월 창간호부터 1936년 12월 폐간호를 중심으로
교회사연구
2006 .12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
동양철학연구
2009 .01
근대초기영어와 현대영어에서의 시간에 대한 개념적 은유
새한영어영문학
2008 .11
근대성 비판으로서의 "형식" : 김남천의 경우
현대소설연구
2001 .12
陶南 국문학사의 근대문학 서술과 근대인식
고전문학연구
2005 .01
신소설에 나타난 통속성의 전개 양상 : 〈귀의성〉에서 〈장한몽〉까지
국어국문학
2006 .12
근대성 논의에서 패러다임과 방법론의 혁신 문제 :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 근대화론을 넘어 差異와 異種의 근대성으로
국어국문학
200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