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이호임 (고신대학교, 고신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정숙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고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48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고도비만 환자의 비만대사수술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비만대사수술 건수가 크게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수술에 대한 정보제공이 부족하며 이에 대한 선행연구도 미비하여 수술을 앞둔 환자는 체계적인 정보 제공의 부족과 함께 불안을 느끼며 이를 중재해 줄 필요가 있다. 성공적인 수술 결과와 고도비만 치료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수술 전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켜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비만대사수술 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병원 위장관외과 병동에 고도비만환자로 비만대사수술을 받기로 예정되어 수술을 위해 입원한 대상자로 대조군 12명, 실험군 12명으로 총 24명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19년 7월 4일부터 동년 10월 25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로 윤민아(2015)가 개발한 위절제술 환자를 위한 수술 전 교육의 자가간호 지식 측정도구를 비만대사수술 환자의 특성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설문지 항목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검토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로는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근거로 Chen 등(2001)이 개발한 신 일반적 자기효능감(New General Self-Efficacy; NGSE)도구를 오인수(2002)가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8개 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불안 측정도구로는 Spielberger(1972)의 STAI를 김정택과 신동균이 한국인에게 맞게 표준화한 기질-상태 불안 측정도구(1978)로 기질불안, 상태불안을 측정하였다.
실험도구는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정보제공으로 동영상 내용의 소개, 수술 방법과 합병증, 수술 전 간호, 삼단호흡기 소개,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식사, 마지막 인사말과 시청독려인 7단계로 구성된 총 7분의 동영상파일이며 이 교육내용을 노트북을 이용하여 수술 2주 전 검사를 위해 입원한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시청하게 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의 이해를 돕고 확인을 위해서 추가설명과 질의응답을 통하여 정보제공을 하였다. 그 후 이동식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자나 보호자가 소지중인 전자기기(스마트폰, 노트북 등)에『비만 대탈출』을 전송 및 자가 학습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퇴원 후 재입원 당일까지 총 2주간 가정에서 대상자가 매일 3회 이상 반복하여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가 학습하도록 하였고, 연구자가 주 1회(매주 금요일) 전화로 지지 및 상담을 제공하고 격려하였다.
연구절차는 비만대사수술을 위해 수술 2주 전 검사를 위해 입원한 대상자에게 사전조사로 제 특성,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기질불안, 상태불안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사후조사는 비만대사수술 전날 밤 수술 전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상태불안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X²-test, Fisher''s exact test, Shapiro-Wilk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전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전후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 정도 차이는 실험군이 평균 3.00±2.08점으로 대조군의 평균 1.83±1.40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4.356, p<.001).
2. 제 2가설 :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전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전후 상태불안 정도 차이는 실험군이 평균 4.25±2.66점으로 대조군의 평균 1.91±5.10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t=-4.624, p=.001).
3. 제 3가설 :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전 상태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전후 상태불안 정도 차이는 실험군이 평균 -4.58±6.66점으로 대조군의 평균 -2.58±6.96점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t=2.382, p=.036).

결론적으로 비만대사수술을 위해 입원한 고도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이 수술 전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상태불안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수술 전 정보제공은 비만대사수술 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불안을 낮추기 위한 간호실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연구가설 4
4.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8
1. 비만대사수술 환자와 불안 8
2.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정보제공과 효과 11
Ⅲ. 연구방법 15
1. 연구설계 15
2. 연구대상 15
3. 연구도구 16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21
5. 자료 분석방법 23
6. 연구의 윤리적 고려 23
7. 연구의 제한점 24
Ⅳ. 연구결과 25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제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25
2.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사전 종속변수에 따른 동질성 검증 28
3. 가설검증 29
Ⅵ. 논의 32
Ⅶ. 결론 및 제언 37
참고문헌 40
Abstract 48
부록 52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결과 통지서 52
2. 연구 설명문 54
3. 연구참여 동의서 55
4. 설문지 57
5. 자가간호 지식 측정 도구 내용 타당도 조사 설문지 62
6. 실험도구; 『비만 대탈출』의 구성 및 내용 64
7. 자가 학습 체크리스트 71
8. 도구 승인 7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