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면서
2. 평양 기성권번(箕城券番)의 설립과 변천 과정
3. 근대 전환기 평양 기생 교습소의 종류
4.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6세기 양반가 婢 乭今의 일상과 乳母 使喚 : 『默齋日記』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2015 .12
생전예수재를 통해본 불교의례의 융합적 특성 : 천태종 구인사(救仁寺) 사례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16 .06
분원공소기(分院貢所期, 1883-1895) 왕실용 백자의 진상체계와 진상용 백자의 성격 : 분원자기공소절목과 하재일기의 비교분석을 통해
역사와 담론
2017 .01
충남지역 불교민속의 전승양상과 성격-부여의 괘불기우재와 관등놀이를 중심으로-
남도민속연구
2015 .01
鄭經世․李埈의 穌齋觀-鄭經世의 비판적 흡수론과 李埈의 계승적 변호론을 중심으로-
영남학
2019 .01
『何博士備論』版本 硏究
중국어문학논집
2019 .08
三宅緝明と朝鮮通信使
일본문화학보
2022 .02
黄胤錫과 『理藪新編』
한국실학연구
2020 .01
만주어 문어 -me bi의 의미 변화
언어학
2020 .08
蟾窩 李玄煥의 繪畫 관련 ‘說’ 작품 분석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2 .02
黙齋 金墩의 文學世界 - 寒士의 志操와 情趣 -
南冥學硏究
2018 .01
변화와 지속: ≪聊齋志異≫에 대한 ≪醒夢駢言≫의 改編 연구 ― 서사내용의 ‘첨가’와 ‘삭제’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2018 .01
조선시대 봉은사 수륙재의 역사적 전개
동양고전연구
2018 .12
1607년 일본 사행록 『해동기(海東記)』 저자에 관한 시론(試論)
열상고전연구
2021 .10
음식을 통해 본 16세기 사대부의 일상 :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22 .03
未發刊資料 『晦齋先生續集』所載 漢詩의 分類樣相과 詩史的 意義
국학연구론총
2019 .01
中国5A级旅游景区的管理现状与特征
중국학
2018 .01
근현대(近現代) 유(儒)?불(佛) 효의례(孝儀禮)의 검토(檢討) - 제사(祭祀)?재(齋)의 간소화와 대중화 방안을 중심으로 -
불교문예연구
2021 .01
증명삼화상(證明三和尙)의 형성 배경과 불교적 위상
보조사상
2021 .11
『聊齋志異』 변신 서사의 양상과 특징 고찰 - 人과 物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20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