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윤현철 (연변대학교) 왕사신 (연변대학교)
저널정보
고조선단군학회 고조선단군학 고조선단군학 제51호
발행연도
2023.8
수록면
243 - 270 (28page)
DOI
10.18706/jgds.2023.8.51.24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일 고대 문헌을 살펴보면 독도 영유권 문제를 둘러싸고 한‧일 간 異見이 없었음을 알 수 있다. 독도는 그동안 한국에 의해 그 소유권이 인정되었으며 역사적으로도 신라시대부터 한국의 영토였다. 그러나 근대 이후 일본은 대륙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독도 침탈을 시작으로 일련의 침략 전쟁을 도발하여 독도의 영유권이 문제가 되기에 이르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동맹국들은 독도가 일본의 영토가 아니므로 한국에 반환해야 한다고 명시하였는데 이것이 독도 문제 해결의 종착점이어야 했다. 그러나 냉전시기 미국은 일본과 한국을 동북아의 군사적 동맹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일본을 두둔하는 이른바 “중립적” 입장을 취해왔고,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논란이 끊임없이 격상되기에 이르렀다. 냉전이 끝난 후 한일 양국 관계는 미묘한 변화를 겪었으며 독도 영유권 문제도 다시 이슈화되면서 점차 격화되기에 이르렀다.
독도 영유권은 고대~근대까지 줄곧 한국에 속했다가 일본침략으로 일본에 넘어갔다. 이 문제가 지금까지 지속된 것은 한‧일 양국의 해양권익 쟁탈과 역사적 갈등의 연장선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은 냉전적 사고에서 비롯된 미국의 의도적인 결과이다. 2000년대 이후 한‧일 양국 학계는 독도 영유권 문제를 둘러싸고 여러 차례 논쟁을 진행하여 論戰의 국면을 초래하였다. 한‧일 사이의 독도 논쟁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한국과 일본 사료 속의 독도가 울릉도 부속 섬인가 하는 문제에 있다. 사료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독도가 울릉도의 부속 섬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국과 한‧일 간의 구조적인 국가관계 때문에 독도 문제 해결의 주도권을 한국과 일본이 아닌 미국이 쥐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미국은 독도 영유권 문제의 해결에는 관심이 없고 한‧일관계의 “쐐기”(楔子) 역할로 한‧일 양국이 서로 적대시하고 싸우게 하는 것에만 집중했다. 한국은 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고 끊임없는 노력과 국제사회의 지지를 통해 궁극적으로 독도의 영유권 문제를 해결하여 한국의 주권과 영토 완정을 수호하여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대 문헌 및 고지도 속의 “독도”와 “죽도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