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시대별 주거 유적
Ⅲ. 제의 유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례의 양상과 특징
한국상고사학보
2017 .02
울산의 청동기시대 취락과 창평동 환호 유적
선사와 고대
2018 .01
만경강 일대 선사문화의 전개와 성격 -전북혁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보
2017 .01
남강유역 청동기시대 구획구의 구조와 성격
영남고고학
2022 .05
安城 盤諸里聚落의 變遷相
한국청동기학보
2022 .04
가내리 청동기시대 취락의 성격과 시기
역사와 담론
2018 .01
마한의 제사유적과 익산 영등동 다중환구의 고고학적 의의
한국상고사학보
2023 .05
호서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환호 검토
호서고고학
2022 .10
서산지역의 선사시대와 대산 중학교 소장 유물
한국사학보
2017 .11
한국 고지성 취락의 구조와 재지 · 외래문화의 상호관계 -중부지역 내 고지성 취락유적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23 .12
선사∼고대 광장과 의례 공간의 변화
숭실사학
2020 .01
청동기시대 儀禮 연구와 그 방향성
한국청동기학보
2023 .04
경기 일원 원형점토대토기단계 취락의 형성과 전개양상 -유적 공간 분포패턴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23 .12
영남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전환기에 대한 小考
한국청동기학보
2018 .01
한국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전?중기 편년 재고- 인천과 경기 지역의 새로운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신석기연구
2021 .12
신석기시대 남부내륙지역 취락 연구
한국고고학보
2015 .01
청동기시대 立大木 祭儀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한국고고학보
2015 .01
청동기시대 갑천유역의 유적 분포양상과 그 의미
고고학
2016 .01
충북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특징
한국학연구
2017 .12
京畿南部 黃口池川流域의 靑銅器~初期鐵器時代 爭點
호서고고학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