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서 론
II. 지역발전과 지역대학 발전 정책
III. RISE에서 지역대학의 역할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IV.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과제: RISE를 중심으로
지역산업과 고용
2024 .09
지역-대학 협력과 혁신을 위한 충북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례
지역산업과 고용
2024 .09
지역혁신체계에서 대학의 역할 진단
지역산업과 고용
2024 .09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지역대학의 역할과 과제
경남발전
2021 .10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23 .12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23 .12
대학재정지원사업 성과와 과제: 국립대학의 교육과정 혁신을 중심으로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12
지역과 대학의 협력
충북 Issue & Trend
2023 .09
균형발전과 대학: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대학 혁신의 과제(RM2022-04)
[KEDI] 연구보고서
2022 .12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23 .12
대학이 지역주민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2019 .12
서울대 대학과 도시 포럼 "지역중심시대, 대학과 도시의 지역발전 전략과 과제는?"
지방정부
2023 .11
혁신도시-지역대학 연계, 실태와 활성화 방안
국토정책 Brief
2019 .10
지역혁신기관의 역할 및 성과 제고방안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2024 .09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중앙-지방정부의 대학지원체계 구축의 방향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24 .11
대학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 역할 이해
교육행정학연구
2020 .10
지역혁신체계와 문화: 역할과 방향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11
대학 역량의 지역 간 격차와 과제
지역산업과 고용
2022 .03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정책 진단과 방안(I): 대학 교육과정 혁신을 중심으로 (RR2017-08)
[KEDI] 연구보고서
2017 .01
광역자치단체 대학지원 RISE 체계 수립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2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