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무엇이 ‘뉴스’이고, 무엇이 ‘뉴스미디어’인가 : 언론인과 이용자의 인식 비교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04
해외 언론으로 보는 뉴스 유료화의 가능성_뉴스 유료화에 뛰어든 세계 언론… 한국 언론은 언제?
신문과방송
2020 .10
언론수용자의 언론인 접촉경험과 언론신뢰 : 언론인접촉-언론신뢰 가설에 대한 실증 테스트
한국언론학보
2019 .10
뉴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변화, 언론의 법적 개념도 바꿀까?
언론중재
2016 .03
참여적 뉴스 이용의 효과 : 메신저, SNS를 통한 뉴스 이용과 뉴스 및 언론인에 대한 신뢰
한국언론정보학보
2020 .02
디지털 뉴스 시대 한국 언론의 과제
관훈저널
2017 .03
사실과 의견 구분_‘사실’ 뒷받침 되지 않은 ‘과잉주장’…언론 신뢰 해친다
신문과방송
2018 .10
한국 언론은 안녕한가2: 한국 언론인이 바라본 한국 언론_언론사는 무너져도 언론은 무너져선 안 된다
신문과방송
2022 .01
뉴닉으로 보는 뉴스레터 성공 비결_“재미있어서 봤는데 알고보니 뉴스였다”
신문과방송
2019 .05
내가 생각하는 뉴스의 가치_언론을 통해 사회의 ‘선순환’을 꿈꾸다
신문과방송
2021 .05
그래도 “이런” 언론은 있어야
관훈저널
2021 .12
한국 언론과 포털 뉴스서비스
연구보고서
2020 .11
언론을 담다 : 한 권으로 보는 한국 언론 60년
연구보고서
2020 .12
〈2024 언론수용자 조사〉 결과_늘어난 매체 이용, 줄어든 뉴스 이용
신문과방송
2025 .01
[토론] 가짜뉴스와 언론, 미디어의 공적책임 : 어떻게 바른뉴스를 정립할 것인가?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7 .04
[신뢰 못 받는 한국 언론] 한국 언론의 신뢰도 왜 여전히 낮은가
관훈저널
2020 .09
[지역 언론은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가] 지역 뉴스 전하지 못하는 지역 언론 디지털 유통 활성화 위한 정책적 지원 이뤄져야
신문과방송
2022 .11
페이스북 ‘언론 신뢰도 평가’ 파장_‘나만의 것’ 있는 뉴스만 살아 남는다
신문과방송
2018 .03
한국 언론, 얼마나 낡았나_가르치려 드는 언론 통하지 않는 시대
신문과방송
2020 .12
세션2-뉴스와 신뢰_언론인-독자-포털 함께 가짜 뉴스에 공동 대응해야
신문과방송
201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