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성철 (경희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조직신학연구 제47권
발행연도
2024.8
수록면
22 - 48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늘날 생태 위기는 팬데믹부터 기후 위기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는 산업 혁명 이후 탄소 의존 사회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던 근대 사회의 부정적인 결과이다. 근대 사회의 이념을 지탱하는 하나의 기둥인 파괴적인 자본주의는 탄소 의존 사회를 구축하였을뿐 아니라 서구 제국주의를 통해 생태 위기의 전 지구화를 촉진하였다. 또다른 기둥인 성장지상주의는 이성을 가진 존재로서 ‘나’의 인식을 왜곡시켜 자연과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착취를 정당화하고 하나님을 경제 성장을위한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전락시켰다. 하지만 과거 기독교는 이에 저항하기보다는 동조함으로써 탄소 의존 사회를 견인하였다. 그러므로 생태학적 정치신학은 새로운 사회·경제적 패러다임을 추구해야 한다. 물론 왜곡된 체제의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단 하나의체제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세상의 소금과 빛(마5:13-14)의 소명을 가진 그리스도인은 탈성장과 파괴적 자본주의의 해체, 생태 민주주의와 대안 경제 체제의 구축과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탄소 중립 사회로의 길을 추구해야 한다. 특히 생태학적 정치신학은 생태민주주의의 구축에 집중해야 한다. 왜냐하면 오늘날 탄소 중립 사회의 실현은 생태 민주주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정치신학은 생태 정책을 구체적으로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탄소세와 공유세와 같은 조세 제도의 개혁과 강력한 재생가능에너지 정책의 법제화 등은 그 대표적인 예다. 이제 생태학적 정치신학의남은 숙제는 생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집단들과 연대해서 실천하는 생태 교회를 지원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