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머리
2. 북한 『손말사전』의 성격
3. 북한 『손말사전』의 특성
4. 마무리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웹기반 한국수어사전 콘텐츠 구성과자료 제시 방향 탐색
건지인문학
2016 .01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이용한 청인 대학생의 한국 수어에 대한 진정성 인식과 학습효과
수어학과 언어융합연구
2024 .12
수어와 구어 통역 교육 발전 양상 비교 연구
번역학연구
2015 .09
광주광역시 지명수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조어 방법
언어과학연구
2022 .09
수어의 구조와 의미 간의 상관성 고찰 : 한중 신체어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16 .03
Morpho-phonological investigation of compounds in Korean Sign Language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2 .04
음성언어가 수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 한중 수어에 나타난 차용어의 유형과 수용양상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04
Deontic and Epistemic Modality in Korean Sign Language
수어학과 언어융합연구
2024 .12
북한 방언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연구: ‘남북 언어의 이질감 극복’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4 .09
음성언어가 수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 한중 수어에 나타난 차용어의 유형과 수용양상
언어과학연구
2019 .03
수어 의미 관계의 양상과 특성
한글
2021 .09
국어교육의 북한어 이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2015 .06
한국수어의 색채어 의미 확장
언어
2022 .09
Metonymy in color terms of Korean Sign Language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04
2012년 학제 개편 이후 북한 국어 교육의 방향성
국어교육연구
2016 .10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국어교육연구
2016 .10
문제 해결 과정의 수어 표현과 인지 기제
수어학과 언어융합연구
2024 .12
음성언어와 수화언어의 공간인지 대조: 한중일 내외공간이동의 종점공간을 중심으로
언어
2022 .06
南北 言語 統合 政策에 대한 專門家 調査 結果 分析
어문연구(語文硏究)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