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Lee Min Suk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Yangsan, Korea) Lee Hyun-Ji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Yangsan, Korea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Oh Seung-Hwa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Yangsan, Korea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Byun Joung-Hee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Yangsan, Korea)
저널정보
대한진단검사의학회 Laboratory Medicine Online Laboratory Medicine Online 제14권 제2호
발행연도
2024.4
수록면
142 - 146 (5page)
DOI
10.47429/lmo.2024.14.2.142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식 수혜자의 혈장 내에 존재하는 HLA에 특이적인 DSA가 항체매개 거부반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non-HLA 항체들도 항체 매개 거부반응을 유발한다고 밝혀져 non-HLA 항체 검사가 중요시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DSA 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심장 및 폐 이식 후 거부반응이 발생한 5개월 환아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Non-HLA 항체 검사를 통해 심장이식 거부반응에 관여한다고 보고된 바 있는 ENO1, TUBA1B과 vimentin에대한 항체와 epitope 분석을 통해 잠재적 DSA로 의심되는 HLA-DP 항체를 검출하였다. 해당 환자는 혈장교환술, 정주면역글로불린으로 구성된 탈감작 요법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되었으며, 이로 인해 PRA의 MFI가 감소하였고 ENO1, TUBA1B 및 vimentin에대한 항체의 MFI가 감소하였다. DSA가 검출되지 않지만, HLA 교차시험 결과가 양성인 이식거부반응에서 non-HLA 항체 검사 및 HLA epitope 분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