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교육행정학 대표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와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에 2018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출간된 교육리더십 관련 논문 총 78편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기별 게재 현황, 저자 현황, 학교급, 분석 대상, 리더십 주체, 리더십 발휘대상, 리더십 유형,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의 분석 준거를 토대로 양국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전통적인 리더십 유형 구분에 입각한 리더십들이 연구되어 온 반면, 미국은 최근 연구에서 사회정의 리더십, 특정 맥락에 입각한 리더십, 그리고 유형의 경계를 허물고 두 가지 이상 리더십 유형의 시너지 효과를 살피는 통합적 리더십이 연구되고 있었다. 둘째, 한국은 각종 직책에 따른 리더십 연구들이 확장되는 반면, 미국은 특정 직책의 리더십보다는 두 구성원 이상이 함께 발휘하는 팀 리더십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셋째, 미국은 기존 리더십 연구에 대한 비판연구를 통해 리더십 연구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하려는 노력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에서의 교육리더십 연구를 위해 형평성을 위한 리더십, 실천적 함의를 담은 연구 및 토착적 리더십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a total of 78 educational leadership articles published from 2018 to June 2023 i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in the U.S. These articles were analyzed through several criteria derived from previous trend analysis research, such as author information, published years, school levels, data targets, leadership agents, leadership targets, research methods, and analytical techniques. The findings show that first, while Korean articles predominantly focused on traditional leadership types by expanding leadership required differently according to various positions, the U.S. article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social justice leadership focusing on equity, general leadership enactment in specific contexts, and interconnected leadership that combined two or more leadership types. Second, Korean studies tended to focus on the leadership conducted by single positions such as school principals, vice-principals, and teachers, whereas, in the US, team leadership among multiple positions has been investigated. Third, in the US, critical analysis research on existing leadership literature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offers several implications regarding leadership focus for equity, practical implications in research, and insights into indigenous leadership for the future educational leadership research direc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