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기록자료를 넘어 현장으로
2. 중국 학계와의 교류
3. 전시, 공동연구로 이어지는 연구성과의 축적
4. 상시적인 채널을 활용한 정보의 소통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북아역사재단의 한중 학술 교류와 성과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09
한중 수교 30년, 한중 음식 교류 30년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09
朝鮮 15세기 ‘地理志’에 기재된 道 分定 磁器의 성격
야외고고학
2021 .11
한중 ‘갈등·협력·경쟁’ 관계 : 학술교류의 의의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06
조선 말 청화백자에 장식된 외국산 직물 문양의 연원과 유입과정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6
고려시대 八關會를 통한 국제교류
남도문화연구
2015 .12
15세기 전반 광주목(廣州牧)의 백자 번조 연구
고고학
2021 .12
한중문학의 사회문화적 특징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교류사의 관점에서 중국 도자기 다시 보기
역사교육
2015 .06
「18세기 연행록을 통해본 한중 문화교류의 양상」 토론문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한중 정부간 R&D협력기구 설치에 대한 연구
중국학논총
2015 .01
회화 속에 되살아난 전통: 서양화가 도상봉(1902-1977)의 조선백자 재현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2022 .12
GL지수를 활용한 한중 FTA 양허안 효과분석
중국학
2016 .12
한중 역사 갈등의 현황과 과제 - 동북공정을 넘어 미래로
동북아역사논총
2022 .09
<한중인문학연구>로 본 한중 인문학 연구사
한중인문학연구
2017 .01
한중 감탄문 실현 양상의 대조 연구 - 한중 병렬말뭉치를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11
한중문학작품번역비교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1
朝鮮後期 淸 陶資의 受容과 認識 變化
한국학연구
2018 .09
16세기의 국제질서 변화와 한중관계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4
무역결합도(Intensity of Trade)를 활용한 제조업분야 한중 FTA 양허안 효과분석
중국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