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01. 서론
02. 기후과학의 형성과 불확실성
03. ‘하나의 지구’ 개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
04. 기후과학과 지역 지식의 연관
05. ANT 관점에서 보는 기후변화
06.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토론문] 한국 사회에서의 기후위기, 그리고 과학기술학
과학기술과 사회
2022 .06
과학기술학 민족지(STS Ethnography)로 과학기술학하기 : 현장과 관계 맺기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4 .04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과 과학기술학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5 .06
미지의 기술을 대하는 태도: 과학기술학이 할 일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8 .04
과학기술학은 이번 팬데믹으로부터 무엇을 성찰할 것인가?
과학기술과 사회
2022 .01
과학기술학(STS)의 새로운 방법론으로서의 이슈매핑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6 .12
과학기술학에서 장애 경험의 해석과 활용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4 .12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과학기술학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9 .05
문화인류학과 과학기술학에서 기반 시설의 은유 : 현장과 실험실의 부분적 연결에 대하여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4 .04
코딩AI 코파일럿과 개발자의 상호구성: 교육학과 과학기술학의 관점을 접목하기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4 .04
실천이론에서 본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 : 과학적 실천이론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STS)의 접점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7 .05
기후변화 교육
과학기술과 사회
2022 .06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안-사이에서 ‘몸과 함께’
과학기술학연구
2019 .11
북한과 SDGs: 과학기술학으로 다시 보기 : "물질/기술"로 읽는, 북한 주민의 일상과 사회 feat. 신유물론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2 .05
주체와 담론의 상호작용: 담론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7 .0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 과학기술인재 양성방안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2019 .11
포스트휴매너티, 휴먼바디, 그리고 과학기술학의 역설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8 .0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 과학기술의 정책적 대응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2019 .11
실재하는 오드라덱(Odradek)으로서의 인공지능: 과학기술학에서의 AI의 함의와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3 .06
[부산지방기상청 기후서비스과] 영남지역 기후특성 및 기후변화 경향 조사·분석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