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젊은이들을 위한 교황 프란치스코의 메시지
Ⅲ. 한국 청소년 사목의 실재와 방향
Ⅳ. 나가는 말 - 성령에 이끌리는 사목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 메시지와 청소년 사목의 방향’에 대한 논평 2
한국그리스도사상
2015 .12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 메시지와 청소년 사목의 방향’에 대한 논평 1
한국그리스도사상
2015 .12
Pope Francis and Ecclesial Communion in the Philippines: Reality and Challenges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8 .07
[제 2 주제]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회적 토착화와 한국교회의 응답
한국그리스도사상
2015 .12
Welcoming, Questioning, and Engaging Francis : The Reception of the Pop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What It Reveals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8 .07
프란치스코 교황과 콩가르의 교회 개혁론
신학전망
2021 .03
The Differences between Boundaries and Limits : An Evaluation of the Reception in Europe of Pope Francis’ Teachings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8 .07
강요가 아닌 사랑의 마음으로 -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성인을 통하여 살펴보는 팬데믹 이후 청소년 사목자의 모델에 관한 연구 -
가톨릭청소년교육사목연구
2022 .12
Tasks for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on the Path of Pope Francis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8 .07
The Diplomacy and Geopolitics of Mercy, The New World of Pope Francis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8 .07
프란치스코 교황의 영적 전기: 삼위일체적 영적 프로필의 형성
신학전망
2023 .09
[복음화 부문] 한국 천주교 내적 복음화를 위한 사목적 쇄신 (1993-) - 그리스도사상연구소를 중심으로 -
한국그리스도사상
2021 .02
코로나19 이후 교회가 나아가야 할 길: 사목 패러다임의 전환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1 .12
청소년 사목에서 또래연대 가능성 모색
신학전망
2015 .12
개인의 존재 안에서의 공동체성과 타자성: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모든 형제들』을 중심으로
신학전망
2021 .09
현대 청소년 사목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돈 보스코 예방교육을 중심으로 -
가톨릭청소년교육사목연구
2021 .12
프란치스코 교황의 ‘함께 걸어가기’ 리더십: 전기적 사건들과의 관련에 관한 탐구
신학전망
2020 .03
프란치스코 교황의 청년 이해: ‘인퀴에투디네’(Inquietudine) 개념을 중심으로
신학전망
2021 .03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회적 토착화와 한국교회의 응답’에 대한 논평 2
한국그리스도사상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