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형태론의 보수성
2. 문장 성분의 변화와 격표지
3. 서술어의 활용 양상의 변화: ‘웃기다’와 ‘틀리다’의 경우
4. 조사의 문법화
5. 선어말어미의 결합 순서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Korean EFL Learners’ Development of Inflectional Morphemes
언어학 연구
2017 .04
名詞に接続する形式名詞「すえ」の意味と機能 : 明治期と現代との用例比較を通じて
일본연구
2015 .08
세대에 따른 구례 방언 문법 형태의 변화
국어문학
2017 .07
한국어 형태론, 넓고 깊게 보기- 최형용(2016)을 대상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16 .01
Asymmetrical Realizations of Inflectional Suffixes in English
영어영문학연구
2020 .01
“VO1+O2”的类型和功能考察
외국학연구
2019 .01
形態論, 爭點들에서 길 찾기
어문연구(語文硏究)
2016 .03
일본어의 복수 표지 ‘-たち’의 사용 범위 확대에 대한 고찰 ―트랜스 동아시아적 예비 분석도 겸하여―
일본문화학보
2023 .02
음성 실현형 ‘–슴미–’와기저 구조 ‘–습–느–니––’
언어와 정보사회
2017 .01
『독서와 문법』 ‘단어의 형성’ 단원에 대한 검토
언어와 정보사회
2015 .11
The Stem Transposition Effects in Korean Word Recognition
언어과학
2019 .01
이음절단순어를 구성하는 ‘동일한 意符를 가진 形聲字’에 대한 연구
중국학논총
2018 .01
언어학과 국어학 : 변형 생성 문법과 한국어 어미의 통사론
동서인문학
2016 .12
A grammatical approach to the "as if" construction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혼성어 형성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어학 연구
2018 .10
한국어 '어미'의 품사론, 문장성분론 : 기능적 단어의 정립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2015 .02
영어 접미사 표면형 [-ar]의 이중성
신영어영문학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