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종교사의 맥락에서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향후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연구할 때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한국종교사의 맥락은 어떤 종교의 인간관이든지 특정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시각을 말한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연구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제2장 선행연구의 접근)는 인간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심리학, 철학, 교육학, 비교 연구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인간관에 대한 연구 방식이 심리학적 접근과 경전 해석의 접근으로 시작해서, 철학적 접근, 교육적 접근, 그리고 다른 종교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다변화되고 있지만, 앞으로 인간관의 설명 요인들을 좀 더 다양화해서 인간관을 연구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제3장 대순진리회의 인간관)는 6개의 요인들을 활용해서 인간관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6개 요인들은 ‘인간의 기원,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 죽음 이후 인간의 상태, 인간의 현실 인식, 인간 삶의 목표,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설명 요인들은 기존의 연구에 비해 인간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세 번째(제4장 남는 문제)는 인간관 형성 요인들에 비추어봤을 때 앞으로 논의가 필요한 과제들을 추출하는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제를 인간관의 내부 논리를 설명하기 위한 과제, 그리고 인간관 형성 요인들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과제로 구분하였다. 인간관의 내부 논리와 관련해서는 인간의 기원ㆍ출생, 인간의 구성 요소, 사후 심판, 인간의 주체성, 인간이 처한 현실 인식, ‘선천-후천’의 구도에서 논의가 필요한 부분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인간관 형성 요인들의 배경과 관련해서 대순진리회와 다른 종교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끝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인간관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인간관과 관련된 용어들을 ‘전경용어사전’에 포함시키는 과제, 교리와 그 쟁점에 대해 논의할 기구를 설치하는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종교학 연구자들이 한국의 주요 종교인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religious history. Here, the context of Korean religious history refers to the view that every religion, including its doctrine, ritual, and organization is created in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firstly, chapter 2, ‘An approach to the preceding research,’ focuses on the previous studies on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In this part, I have divided the previous studies into psychological, philosophical, educational, and comparative approaches. These prior studies show that studies on the view of human beings started with approaches based on psychology and scriptural interpretations which were later extended to philosophical, educational, and comparative fields of study. Howev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re are more suitable explanatory factors to explain the view of human beings.
Secondly, chapter 3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explains the view of human beings through the utilization of six factors. This six factors are as follows: the origin of human beings, components of human beings, the final judgment after death, the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the purpose(s) of life, and the practices of life.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ese explanatory factors may contribute to a more specific explanation of the view of human beings.
Thirdly, chapter 4 (‘Remaining problems’) focuses on future research tasks based on the six factors mentioned above. In this part, I pointed out various research tasks that have to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of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especially in connection to other religions.
Finally, in the conclusion, I present two tasks for active research on the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One is the task of incorporating the terms related to humanity into Daesoon Jinrihoe’s dictionary of scriptural terms. The other is the task of establishing a department to discuss doctrine and related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