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춘우 (경상국립대학교)
저널정보
한국프랑스문화학회 프랑스문화연구 프랑스 문화 연구 제50권 제1호
발행연도
2021.9
수록면
255 - 287 (3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고독한 초현실주의자로서의 시기까지 고려하면 퐁주가 초현실주의로부터 받은 직간접적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들과 직접적으로 교유하는 동안 실제로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느낄 수 있는 시를 쓰기도 했다. 「법과 예언자들 La Loi et les Prophetes」Proemes, OC I, pp. 194-195. 이 대표적이다. 미래 시제를 사용하여 예언자적 어조를 띠게 한 것도, 낯설고 혼란스러운 이미지의 전개도 그렇다. 『혁명에 기여하는 초현실주의』 창간호에 실린 「이성 이상 Plus-que-raisons」이라는 시는 상상력을 통한 정신의 절대 자유를 칭송한 초현실주의 선언문의 노선을 잘 따르고 있다. 하지만, 글레즈가 지적하고 있듯이 이 시는 전혀 퐁주적이지 않다.Gleize, Francis Ponge, p. 54. 그는 초현실주의자들과 저항의 정신은 공유했을지언정, 몇몇 시를 빼고 그의 시작법은 그들과 사뭇 달랐다. 말하자면 사회적 입장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문학에 대한 입장은 퐁주와 초현실주의자들이 매우 달랐던 것이다. 1930년 이전에 이미 초현실주의 시작법을 비판하는 글들과 시들을 여러 편 썼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우리는 퐁주가 왜, 그리고 어떤 점에서 초현실주의의 문학적 태도를 비판하는지 몇 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바탕으로 그가 추구한 글쓰기 방향은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퐁주의 초현실주의 비판의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려는 우리의 시도는 초현실주의 미학과 대립되는 퐁주의 사물의 시학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과 이 시학의 핵심적 쟁점들을 이해하는 하나의 유용한 계기를 제공해 줄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