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정책 변화 한일 비교
일본문화학보
2015 .02
사회기술적 조정과 원전 체제의 다양성: 원전 산업구조와 규제양식을 중심으로
서양사연구
2016 .01
기후 위기의 대응방안으로써 원자력 발전(發電): 러시아와 프랑스의 원전산업 발전과 협력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2022 .05
A Social Dilemma of the Nuclear Energy Issue in South Korea: How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rust in Nuclear Energy Control Affect Individuals’ Behavioral Intentions
Korea Observer
2021 .01
원전 사고와 원전체제의 변화: TMI와 체르노빌 사고를 중심으로
서양사연구
2016 .01
Left-wing Origins of the ‘Nuclear Power State’ and the Emergence of the ‘the only country ravaged by the atomic bombs’ Discourses
일본학보
2022 .08
중국의 핵무기 개발과 1960년대 핵 억제전략
군사연구
2019 .01
원전 체제의 형성, 1940 ~ 1970 - 미·영·프·독의 경우를 중심으로 -
서양사연구
2016 .01
Some Notes on Nuclear Stress in English
언어과학
2017 .01
The Ethics and Politics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윤리연구
2017 .01
A Human Security Perspective of South Korea's Civil Nuclear Power
Korea Observer
2017 .03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에너지정책의 전환
외국학연구
2018 .01
1950~1970년대 미국의 전략변화에 따른 한국의 원자력 선택과 자립화
江原史學
2020 .01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원자력담론(1947-1974): 발전주의의 접합과 안전신화의 형성
담론201
2021 .10
인도 핵무기 개발의 네 가지 원동력
군사연구
2016 .01
A Study on Nuclear Stress in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in Korea
언어학 연구
2022 .01
발전(發電)의 믿음, 발전(發展)의 욕망: 물신숭배의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의 원자력 낙관주의
종교문화비평
2015 .01
원자력 이슈에 관한 일반국민들의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Q 방법론의 적용
주관성 연구
2019 .01
북한 핵·장거리탄도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른 군사적 대응 방안 연구
군사연구
2017 .01
A Northeast Asia Nuclear Weapon-Free Zone at the New Stage of the Development in Global Nuclear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Korea Observer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