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회운동론의 관점에서 본 민주화 운동의 성공: 멕시코 68 민주화 운동과 5·18 민주화 운동을 중심으로
라틴아메리카연구
2020 .10
The Great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al Movements : Korean Social Movements Reclaiming a Peaceful Civil Revolution
EAI 이슈브리핑
2017 .04
비국민과 이주 배경 국민은 한국 사회운동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 이주민 운동의 성찰과 전망
경제와사회
2021 .06
1987년 이후 한국 사회운동의 역사적 궤적과 현재의 성찰 : 서구 사회운동과 비교하며
시민과세계
2016 .12
North Korea’s Perception of South Korea’s Candlelight Vigil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2023 .05
Alliance and social division: The changing nature of the anti-US base movement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20 .01
한국의 사회변동과 운동리더십의 역사적 변환
민주주의와 인권
2017 .03
대전지역 사회운동의 성장과 분화: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시민사회와 NGO
2016 .01
5·18피해자의 삶의 위기와 사회적 과제
민주주의와 인권
2023 .09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미국 연구자 담론과 국제관계론적 재해석
국제문화연구
2021 .12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2024 .10
사회운동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미국 가정폭력반대운동의 흐름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2018 .08
On 1987: South Korean Cinema in the Era of Re-democratization
Korea Journal
2020 .09
5·18민주화운동 피해자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고찰: 심리건강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2023 .12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the Centennial Anniversary Studies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Korea Journal
2021 .03
3·1운동의 역사적 원류와 계승
한국학논총
2019 .01
1980년대 문화운동담론의 구조와 의미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2018 .01
The material culture of social movement : The performance of artifacts in Korean protests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5 .12
寻找共同之路 — 1920年代韩国对“五四”报道的转变
중국학보
2020 .01
언론개혁 운동의 성찰과 전망
경제와사회
2021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