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양화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중국문학 제108권
발행연도
2021.8
수록면
283 - 299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의 목적은 女俠 聶隱娘 이야기를 다룬 清代 尤侗의 雜劇 《黑白衛》의 《聶隱娘傳》변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오랫동안 이어온 섭은낭 이야기 전승의 역사에 우통의 《흑백위》는 여타 작품들과 달리 첫째, 원작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둘째, 희곡이라는 장르로 개작하였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의를 가진다. 청초 지식인들의 희곡에 대한 인식 그리고 《흑백위》下場詩를 통해 볼 때 우통의《흑백위》창작은 자신의 감정과 견해를 표출하기 위한 것으로 원작 변용은 작가의 의도가 담긴 재해석이라 하겠다. 그는 원작의 변용을 통해 섭은낭의 행협을 강조하고 사회 부조리를 조장하는 권력자들을 척결하는 염원을 그려냈다. 우통이 작품에서 그려낸 사회와 염원을 통해 사회 부조리로 인해 좌절을 겪어야 했던 청초 지식인 집단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염원을 살펴볼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