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준동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서광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김중호 (김중호한의원) 김봉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저널정보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35권 제1호
발행연도
2022.2
수록면
58 - 62 (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long-term acupuncture on a amblyopia derived from astigmatism. Methods : A 39-month-old-female child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with simple astigmatism and amblyopia in the left eye. She took long-term acupuncture treatment once or twice a week for almost four years. And the autorefractor follow-up were conducted per every 6 months. Results : At the initial visit, naked eye visual acuity was 0.1/0.7(OD/OS), Sph. +0.00D, Cyl. -2.25D, AXIS 148° in the right eye, and Sph. +0.00D, Cyl. -0.25D, AXIS 49° in the left eye. After acupuncture treatment for about 4 years without correctional glasses, the visual acuity of the right eye was 1.0, the right eye had Sph. +0.00D, Cyl ?0.50D, AXIS 146°, and the left eye had Sph. -0.25D, Cyl ?0.50D, AXIS 154°. The visual acuity was maintained until 1 year follow up as 0.9/1.0(OD/O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using acupuncture treatment for amblyopia derived from astigmatism.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