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한국 여성의 경제 대표성은 134위, 정치 대표성은 107위로 성별 격차 여전]
[2. 여성대표성과 가족 내 성평등 수준 가장 저조]
[3. 부산지역 성평등 수준 상위권이나, 여성대표성 제고와 성평등한 가족문화 조성 필요]
[4. 구조적 성차별 및 안전을 위협하는 폭력문화 여전]
[5. 성평등 사회를 위한 과제]
5-1. 정치 및 행정 분야 의사결정 과정에 여성 대표성 제고
5-2. 성평등한 가족문화 조성
5-3. 구조적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여성가족부의 역할 및 범부처간 협력 강화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성평등
여/성이론
2018 .06
건강 불평등 사회적 이슈
한국웰니스학회 학술발표회
2019 .11
경제성장과 성평등정책의 애매한 관계, 타고 넘기
여/성이론
2022 .08
양성평등, 시민의 눈으로 바라보다
부산여성가족 Brief
2024 .12
부산지역 성평등 문화, 이젠 성평등한 가족문화 확산으로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10
양성평등사회를 이루기 위한 정책방향
여성우리
2015 .12
부산지역 가족 내 성평등 이루어지려면?
부산여성가족 Brief
2019 .06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예보과] 엘니뇨와 라니냐 기간에 발생한 태풍 분석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2015 .01
성평등, 젠더 분석을 넘어 교차성으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5 .06
사회적 건강 불평등
한국웰니스학회 학술발표회
2019 .11
“사회적 건강과 불평등” : 모두를 위한 스포츠를 위하여
한국웰니스학회 학술발표회
2019 .11
토머스 스캔론의 「불평등은 왜 문제인가?」와 헌법의 해석
현상과인식
2021 .06
AI 시대 불평등과 지속가능한 정책 대안
여성우리
2024 .12
성평등 관점의 일 · 생활균형 정책추진의 중요성
여성우리
2020 .04
성평등지수, 부산 여성의 현재를 본다
부산여성가족 Brief
2016 .12
세살 성평등, 세상을 바꾼다 : 성평등 의식개선을 위한 교육가이드북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6 .12
대학생 성평등의식 및 성평등교육 실태조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8 .12
성평등과 경제성장
여성연구논총
2017 .02
노동환경의 성평등 제고로 부산의 여성경제활동 확대
부산여성가족 Brief
2022 .06
우리 곁의 양성평등 어디까지 왔나?
여성우리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