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채성주 (충북연구원) 원광희 (충북연구원) 김덕준 (충북연구원) 설영훈 (충북연구원)
저널정보
충북연구원 충북 FOCUS 충북 FOCUS 제204호
발행연도
2022.4
수록면
1 - 30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 인구주택총조사
⦁우리나라의 인구주택총조사는 1회부터 5회까지는 일제하에서 실시되던 ‘국세조사’라고 지칭되었으며, 해방 후에는 여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가 1990년 조사부터 ‘인구주택총조사’로 변경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음
⦁2020 인구주택총조사는 전수부문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등록센서스 방식을 실시하였고, 표본부문은 20%에 대해서 실시하였음
⦁2020 인구주택총조사는 전수조사 항목 16개, 표본조사 항목 55개로 구성 되었으며, 부문별로는 인구 34개, 가구 16개, 주택 6개 항목으로 구성됨
□ 국내인구이동
⦁2020년 11월 1일 기준, 전국 인구 중 충북에서 출생한 인구는 2,098,610명(4.2%)으로 2015년 대비 38,768명 감소(-0.1%)함
⦁충북 거주미의 출생지별 분포를 살펴보면 충북(62.8%), 경기(5.5%), 서울(5.3%), 경북(4.0%), 강원(3.9%) 순으로 나타남
-2015년과 비교해보면 충북에서 출생한 인구의 구성비는 2015년 65.0%에서 2020년 62.8%로 감소(-2.2%p)하여 타지역 출신자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충북도내 시군구 간 이동률은 진전(13.0%)이 가장 높고, 증평(10.1%), 괴산(6.0%), 음성(4.9%), 보은(4.0%) 순으로 나타남
□ 통근·통학인구
⦁2020년 11월 1일 기준 충북지역 통근·통학 인구는 869천명으로 12세 이상 인구(1,428천명) 중 60.9%를 차지함
-성별로 보면 남성 69.5%, 여성 52.1%로 경제활동참여율이 더 높은 남성의 통근·통학률이 17.4%p 다 높음
-지역별ㄹ로는 동부 63.5%, 읍면부 57.2로 동부가 6.3.%p 더 높음
⦁시군별 통근·통학자의 이동구간 분포를 살펴보면, 현재 살고 있는 거주지 시군구 내로 통근·통학하는 비중은 영동(94.0%)이 가장 높고, 증평(68.2%)이 가장 낮음
-거주지 시군구 내 통근·통학비중이 높은 지역은 영동(94.0%), 보은(93.9%), 단양(92.8%), 충주(92.7%), 제천(90.0%)의 순으로 나타남
⦁거주지 시군구 외로 통근·통학하는 비중은 같은 시도 내의 경우 증평(28.9%)이 가장 높고, 진천(17.6%), 괴산(8.6%), 음성(7.7%), 청주(6.5%)의 순으로 높음
-다른 시도로의 통근·통학 비중은 옥천(9.6%)이 가장 높고, 청주(5.3%), 음성(5.1%), 제천·영동(4.1%)의 순으로 높게 나타남
⦁충북 시군별 주간인구지수를 살펴보면, 음성이 119.8로 가장 높으며, 진천(116.4), 단양(110.2), 괴산(109.7) 순으로 나타남
-청주(97.8)가 주간인구지수가 가장 낮으며, 제천(98.4), 증평(99.2) 순임
□ 출생아수 및 기대자녀수
⦁기혼여성(15세 이상)의 평균 출생아수는 2.23명으로 2015년에 비해 0.18명 감소
-가임여성 인구(15~49세)의 평균 출생아수는 1.60명, 2015년(1.66)에 비해 0.06명 감소
⦁기혼여성(15~49세)의 평균 추가계획자녀수는 0.16명으로 2015년에 비해 0.03명 감소
-25~34세 기혼여성의 추가계획 자녀수는 0.50명으로 2015년(0.59명)에 비해 0.09명 감소
⦁기혼여성(15~49세)의 기대자녀수는 1.76명으로 2015년(1.85명)에 비해 0.09명 감소함
□시사점
⦁청년층 결혼여건 개선
-기혼여성(15~49세)의 평균 출새아수는 합계출산율(0.98명)을 상회하는 1.60명에 달함
-청년층의 결혼과 출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결혼준비와 가정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소득원으로서의 청년고용 확대, 주택문제 등 주거부담 완화가 전제되어야 함
⦁미래 성장산업 육성 및 일자기 확대
-미래 유망 업종의 기업유치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하여 청년층의 역외유출을 방지하고 외부인구의 지역 내 유입을 촉진하여야 함
⦁교육 및 정주환겨의 개선 및 강화
-인구의 지역 내 정착과 생산연령인구의 유입은 교육 및 정주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
-주거환경과 함께 문화·복지환경의 강화를 통해 인구의 외부 유출 방지와 함께 외부 이눅의 유입을 적극 유인할 필요가 있음
⦁세밀한 계층별 주거실태 조사 실시
-맞춤형 주거안정 지원 정책의 출발점은 정확한 정책대상의 파악이므로 주거실태에 대한 정기 조사를 시행해야 함
⦁고령자 삶의 질 향상과 고령친화 생활환경 조성
-고령자 재취업 및 고령자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령층의 빈곤층 전락 위험 방지
-고령자 친화적인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고령자 안전을 위한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환경 조성

목차

[표지]
[목차]
[요약]
[Ⅰ. 인구주택총조사 개요]
1. 배경 및 목적
2. 인구주택총조사 특징
3. 인구주택총조사 항목
[Ⅱ. 인구특성 부문별 조사결과]
1. 국내인구이동
2. 통근·통학인구
3. 출생아수 및 기대자녀수
[Ⅲ. 시사점]
1. 조사 결과 종합
2. 시사점 : 충북지역 인구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320-000377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