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영준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한국사회과학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제41권 제2호
발행연도
2022.8
수록면
33 - 66 (34page)
DOI
10.18284/jss.2022.08.41.2.3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현대 한국사회에서 영웅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전통적인 호국영웅, 재난현장에서 생명을 구조한 시민영웅, 심지어 인간의 생명을 구조하는 데 일조한 개나 고양이에게도 영웅 칭호가 부여될 정도로 사회 일반에 폭넓게 퍼져있다. 그것은 아마도 영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재)발견에서 그 원인의 하나를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시시각각으로 일어나는 각종 사고, 코로나 팬더믹과 같은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재난 상황, 날로 험악해지는 범죄 등 악화하는 사회적, 자연적 환경 속에서 영웅은 존재 가치가 더욱 선명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영웅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영웅을 고전적 또는 사전적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써 변화하고 있는 영웅형상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영웅의 긍정적 기능에 기초하여 그들을 우리 사회로 (재)소환하기 위해서는 기초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인식하에 최근(2011년~2020년) 우리나라 언론 속에 드러나는 영웅형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크게 세 가지 유형, 즉 국가나 민족을 수호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사람, 타인의 행복과 이익에 도덕적 의의를 부여하고 행동한 사람, 단순히 사회적으로 성공을 거둔 사람을 영웅으로 부르고 있으며 이에 덧붙여 영웅적 행동과는 무관하게 자긍심 고취와 격려를 목적으로 특정 집단의 구성원들에게도 영웅 칭호를 부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것은 한국사회가 영웅 칭호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나며 비록 친사회적 행동의 확산을 자극케 하는 긍정적 기능이 있을지라도 영웅의 질적 하락을 막기 위해서라도 영웅 개념에 대한 학문적 검토가 필요함을 함의한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영웅은 어떤 사람인가?
3. 한국 언론 속의 영웅은 어떤 모습인가?
4. 한국의 영웅 인식에 문제는 없는가?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