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안동지역 전통 테마 문화행사 현황
2. 전통 테마 축제의 시대별 흐름
3. 전통문화조직 현황
4. 전통 테마 축제의 성격
5. 전통 테마 축제의 지속가능성
6. 전통 활성화를 위한 조직활동
7. 창조되는 전통을 위하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안동의 지역적 특징과 가치
안동학
2024 .12
축제 - 전통시장에서 외 1편
문학들
2017 .02
중국어 텍스트 테마 전개 모형 연구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4 .11
이까짓 축제
창비어린이
2020 .03
축제의 날을 위해
월간에세이
2021 .06
‘우리’는 축제야
자음과모음
2023 .09
안동지역의 한글문화
안동학
2021 .12
지역축제의 전통문화발전을 위한 현황과 과제 -전라북도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안동학
2021 .12
근대 사진으로 읽는 안동의 풍경 - 메모리 인 안동 -
안동학
2019 .12
1920년대 안동 지역의 여성운동 조직과 활동
안동학
2019 .12
안동 도심은 어디까지를 말하나?
안동학
2015 .12
안동문화권 만세운동의 전개 양상과 특성 _ 안동과 영덕의 격정적 시위를 중심으로
안동학
2020 .12
지금은 없는 안동문화회관 : 누가 뭐래도 안동문화의 산실이었다
안동학
2015 .12
안동지역 문화유산의 가치와 미래적 활용
안동학
2019 .12
안동지역 사찰의 출판
안동학
2021 .12
[올해의 축제] 2025년 전라남도 대표축제 10개 선정 “흥겹고 맛있는 남도 축제장으로 오세요”
여행스케치
2025 .02
안동 관광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안동학
2023 .12
안동지역 서원의 출판
안동학
2021 .12
경북 안동 역사문화콘텐츠 기반 지역축제 무용공연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2019 .01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지역축제에 관한 고찰 -포항 지역축제의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안동학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