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이상한 한국사회에 대한 진단과 과제
복지국가 새판 짜기를 위한 대안
제도적 상호보완성의 양면성과 작업가설
남아 있는 논의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상사 부재의 한국 현실에 대한 성찰의 요구 연광석, 『사상의 분단: 아시아를 방법으로 박현채를 다시 읽다』(나름북스, 2018)
경제와사회
2019 .09
철학이 사회이론에 던지는 메시지 : 장춘익,『장춘익의 사회철학 1, 2』(21세기북스, 2022)
경제와사회
2022 .09
사물 철학에 담긴 사물, 관계, 그리고 인간 : 이재현,『사물 인터넷과 사물 철학』(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한국사회복지학
2022 .11
[발칙 건강한 책방] 일하다 마음을 다치다 : 『일하다 마음을 다치다』. 2022.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지음. 나름북스
일터
2022 .02
같으나 다른가? 다르지만 같은가? : 《한국 자본주의 모델 ― 이승만에서 박근혜까지, 자학과 자만을 넘어》. 이병천. 책세상. 2014_《한국 자본주의 ― 경제민주화를 넘어 정의로운 경제로》. 장하성. 헤이북스. 2014
시민과세계
2015 .01
맛으로 본 일본 (박용민 저, 헤이북스, 448쪽)
계간 외교
2015 .04
한국의 미래를 조망하다: 우리가 직면한 인구학적 도전 :『정해진 미래』. 조영태 지음. 2016. 북스톤
도시연구
2024 .06
대변환 시대의 한국 외교(이백순 저. 21세기북스, 2020, 612쪽)
계간 외교
2020 .10
외교의 시대 – 한반도의 길을 묻다 (윤영관 저, 미지북스, 416쪽)
계간 외교
2016 .01
덧없어 보이는 간절한 어떤 기록들 『우리는 가난을 어떻게 외면해왔는가』(조문영 엮 2019, 21세기 북스)
산업노동연구
2020 .01
‘정의로운 전환’에 대해 변혁적으로 질문하기 : 김현우, 2014, 『정의로운 전환』, 나름북스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5 .06
대학 강의실 밖으로 나온 사회학 :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이재열. 2019. 21세기북스
한국사회학
2021 .08
사회학자의 눈에 비친 우리사회의 적폐 : 김광기. 대한민국의 정의를 묻다. 21세기북스. 2017.
문화와 사회
2017 .08
대안사회로의 혁명이 궁금한 사람들에게 : 배성인, 『혁명의 세계 반란의 역사』, 나름북스, 2020.
뉴 래디컬 리뷰
2020 .12
길 잃은 노동자와 ‘사회주의’ 중국의 딜레마 : 려도 지음, 정규식 외 옮김, 『중국 신노동자의 형성』, 나름북스, 2017.
뉴 래디컬 리뷰
2018 .09
동아시아 역사의 유기적인 상호관계를 탐색하는 지난(至難)하고 유의미한 공동의 작업 : 배항섭 · 이경구 엮음, 『비교와 연동으로 본 19세기의 동아시아』(19세기의 동아시아 4, 너머북스, 2020)를 읽고
아시아리뷰
2021 .08
[발칙 건강한 책방] 살고, 살아내고, 살아가기 위해 : 『그리고 우리가 남았다』 한국과로사·과로자살유가족모임,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2020, 나름북스
일터
2021 .05
한국외교 업그레이드 제언 - 새로운 북핵, 4강외교를 위하여 - (위성락 저. 21세기북스, 2020, 368쪽)
계간 외교
2021 .01
[MZ 공간] 취향 저격 북 큐레이션을 원한다면, 스틸북스 회현
한경BUSINESS
2023 .09
<예고된 버블> Zhu Ning 저, 이은주 옮김, 프롬북스(2016,4 출간)
중소연구
2016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