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요약
1. 서론: 프로소설과 문학사적 왜곡
2. 식민지 근대 인식과 미적 반향
3. 계급적 각성과 연대의 국면들
4. 위계의 전도 혹은 감각의 재배열
5. 결론: 해방의 다른 시간들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기 해방으로서의 정치와 미학 -랑시에르의 정치와 미학의 동일성-
인문과학
2017 .01
동아시아 프로문학 연구의 현재를 묻다-캐런 손버, 사무엘 페리, 아니카 컬버의 연구서를 중심으로-
사이間SAI
2015 .05
‘프롤레타리아 문인/문학’의 움직이는 힘과 대중화
민족문학사연구
2023 .04
1920년대 중반 이광수 문학론 연구 : 『문학강화』 와『문예쇄담』 을 중심으로
어문학
2018 .09
2010년 이후 영미 학계의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연구 경향-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 연구 경향과의 비교
구보학보
2021 .01
한·중 프롤레타리아 시의 이데올로기 수용 과정 비교 고찰
국제한인문학연구
2017 .08
‘아픈 몸’과 계급 - 식민지기 프롤레타리아 소설의 질병과 장애 재현
현대소설연구
2023 .03
한·중 초기 프로소설(普?小說) 창작특징 비교연구 - 인물형상과 창작주제를 중심으로 -
국제한인문학연구
2016 .02
Buffalo Unsteeled: Connie Porter, Leslie Feinberg, and the Persistence of Proletarian Fiction
영어영문학
2017 .01
문학의 역사성, 특수성, 정치성 - 민주주의와 문학에 대한 비교연구 시론 (1)
비교한국학
2017 .01
분노의 조직과 혁명으로의 이행- 1920~30년대의 프로문학과 그 운동을 중심으로 -
이화어문논집
2018 .01
일본 내 조선인 ‘아나-볼’ 대립 원인 재검토, 1923년 초 舊 黑濤會 주도세력의 분열과 충돌
한국사학보
2021 .05
어린 혁명가들을 위한 과학: 마르크시즘, 진화론, 프롤레타리아 아동 문학(1920-1935)
한국과학사학회지
2015 .01
J. 랑시에르의 대안의 정치와 현상학적 에토스* - 민주주의의 재정립에 관한 고찰
동서철학연구
2024 .06
1930년대 초반 프롤레타리아 소설의 계급의식과 여성 동성사회성
현대문학의 연구
2019 .01
자크 랑시에르의 『프롤레타리아의 밤』에 대한 서평
인문학연구
2021 .06
식민지 조선의 또 하나의 프롤레타리아 문학?룸펜프롤레타리아, 농업노동자, 유곽의 여성들-
현대문학의 연구
2017 .02
랑시에르의 정치와 미학을 통한 『소년이 온다』와 『너무 시끄러운 고독』분석
동서비교문학저널
2023 .06
규율 권력에 균열을 내는 프로문학 작가들의 정치적 모색 -황지영, 『식민지 말기 소설의 권력 담론: 이기영·한설야·김남천을 중심으로』(소명출판, 2020)
어문론총
2021 .01
플로베르, 염상섭, 문학 정치 : 한국 근대문학에 대한 랑시에르적 사유의 시도
한국현대문학연구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