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의사협회 대한의사협회지 대한의사협회지 제53권 제6호
발행연도
2010.1
수록면
467 - 473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work-related psychosocial factor of health professional includes workload, decision latitude, interpersonal conflict, patient factor, job stress, etc. A total of 12,631 employees nationwide, the number of sample being proportional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were diagnosed. Job demand, organization system, lack of reward,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for health professionals than other occupations. The psychosocial factor increased the risk of chronic disease (hypertension, coronary heart disease, and musculoskeletal disease) and psychological diseases (alcoholism, depression, anxiety), shift work, specifically,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ancer. It is required that worksite prevention programs be established in occupational as well as individual levels.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