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제 2형 당뇨병환자에서 당뇨병성 족부병변에 의한 하지절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당뇨병성 족부궤양 단계에서의 적절한 예방과 치료가 하지절단의 위 험성을 50%나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당 뇨병성 족부병변의 발생률과 임상양상 그리고 위험인자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병원에 내원한 제2형 당뇨병환자를 2008년까지 5년간 관찰 하였다. 족부병변의 위험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6개월 마다 당화혈색소를 반복 측정하였고, 당뇨병성 합병증을 조사하 였다. 자율신경병증은 Ewing 방법에 따라 반복적인 심호흡 호기와 흡기 시 (E/I 비), 체위 변화 시(30:15 비), 발살바 수 기 시 심박동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기능 저하를 확인 하기 위해 단백뇨 여부와 MDRD GFR를 이용하였다. 결과: 총 646명의 대상 환자 중에서 연구기간을 완료한 환자는 508명(82.9%)이었고, 이 중 32명(6.3%)에서 당뇨병 성 족부병변이 발생하였다. 당뇨병성 족부병변이 발생한 군 에서는 당뇨병 유병기간이 길었고, 고혈압 동반률이 높았으 며, 망막병증 동반율도 높았다. 연구기간 동안의 평균 당화 혈색소도 발생군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Lipoprotein (a)가 증가되거나 신기능이 저하된 경우 당뇨병성 족부병변의 발 생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심혈관계 자율신경병 증의 동반은 당뇨병성 족부병변의 발생을 4배 가까이 증가 시킴을 확인하였고, 이는 말초신경병증 못지않게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당뇨병성 족부병변의 발생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평균 당화혈색소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기능의 저하와 심혈관계 자율신경병증이 중요한 유발인자임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당뇨병성 족부병변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서는 엄격한 혈당조절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신기능과 자율 신경병증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