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본종합상사들의 지속가능경영 활동들을 살펴보고 국내 무역업체들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세계 경제가 저성장의 뉴노멀 시대로 접어들면서 기업들의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은 기업뿐 아니라 정부 및 사회에서도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코로나 19로 인해 안전, 환경,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기업의 참여에 대해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이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사항이 되어 가고 있다. 기존 연구들이 제조업체들의 사회공헌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코로나 19로 세계교역이 급감하면서 타격을 받고 있는 무역업체에 대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일본종합상사들이 지속가능경영을 어떻게 추진하고 있는지 기본적인 방침과 추진조직, 구체적인 실행과제와 실제 사례들, 외부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정보 공유 방식 등 지속가능경영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일본종합상사들은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동기가 재무적 성과보다는 기업이념이나 경영방침과 연계하여 추진함으로써 이에 대한 당위성에 대해 조직 전체적으로 수용하고 따르는 문화가 구축되어 있었고, 둘째,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대한 각 영업본부 차원의 자발적인 참여보다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전담하는 조직체나 위원회를 구성하여 전사 차원에서 드라이브를 걸고 있으며, 셋째, 각사 모두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추진 과제들이 UN의 SDGs와 연계되기도 하지만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분야와 주요 시장에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분야를 모색해 나가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한 국내 무역업체들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사내 산업 분야가 상이한 다양한 영업그룹을 보유하고 있는 종합상사의 경우 회사 전체의 공통적인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오너십을 가지고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전담할 조직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국제사회로부터의 요구와 외부평가에 대응하기 위함뿐 아니라 실제 경영활동에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내재하여서 추진되어야 외부로부터 그 진정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로는 사업을 전개하는 시장에서 단독으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하는 것에서 나아가 현지 공급업체, 판매업체, 수요가 및 에이전트와 협업하거나 그들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지원해 주게 되면 장기적으로 기업 이미지와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domestic trading companies. As the global economy enters a new normal of low growth, not only companies, but also various stakeholders are interested in companies' sustainability management. Moreover, with the demand of external stakeholders for corporate participation in safety,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due to COVID-19, sustainability management is becoming an essential rather than an option. Whil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companies' sustainability management focused on manufacturers, research on trading companies affected by the sharp decline in global trade due to the COVID-19 effect wa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basic policies, promotion organizations, specific implementation tasks,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s for external stakeholders in the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it was found that Japanese trading companies have established a culture in which the motivation for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is embraced and followed by the organization as a whole, in connection with corporate ideology or management policy rather than financial performance. Secondly,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re conducting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dedicated organizations or committees rather than voluntarily participating at the level of each sales division. Lastly, although each company's initiatives for sustainability management are linked to the UN's 17 SDGs, they are looking for areas where they can develop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in existing markets and business areas. The implications for domestic trading compani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First, general trading companies that have sales groups with different industries need an organization that can take charge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with ownership in order to promote common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across the groups. Second, not only to respond to the demands and external evalua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also to ensure that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s inherent in the actual management activities, trade companies can be recognized for their authenticity from outside. Third, if trading companies collaborate with local suppliers, vendors, consumers and agents in the market in which they conduct business, or support their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i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image and management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