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신화의 보편적 성격과 신화적 의미─<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
日本學硏究
2017 .01
애기동백 외 4편
시조시학
2021 .03
삼신 신화로서의 <당금애기> 연구 : 동해안본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2 .06
모순된 서사의 제의적 반영 -<삼승할망본풀이>와 <이공본풀이>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2020 .08
애기범부채
푸른사상
2022 .12
민들레농장 열애기
수필미학
2019 .09
제주도 기억서사에서 여성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역사적 사건이 형상화된 전설과 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2 .03
공간성을 메타언어로 한 신화텍스트 연구 -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를 대상으로
기호학 연구
2017 .01
1930년대 유년(幼年)의 발견과 ‘애기그림책’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5 .06
SF 소설의 여성 신격 재현 양상 - <소셜무당지수>(윤여경×원천강 오늘이), <홍진국대별상전>(이경희×산신과 마마신), <거인 소녀>(남유하×설문대할망)를 대상으로 -
석당논총
2024 .03
제주여신신화에 투영된 여성들의 통합적 사유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2017 .01
〈솔만데 할망〉 : 1930년대 한 일본인 학자의 ‘여신 설문대’ 기록과 식민주의적 신화화 논리
국어국문학
2020 .03
제주도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신화의 식인 화소에 함의된 ‘세대 계승’의 의미 연구
동서인문
2023 .04
여성 수난 서사의 신화적 원형과 서사문학적 수용 : 딸/아내/어머니 되기 과정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1 .12
‘공정’의 신화를 넘어서
역사비평
2022 .08
어머니의 강
수필미학
2016 .06
어머니의 달 외 1편
시조시학
2016 .03
어머니 31
시조시학
2016 .08
어머니를 찾습니다
수필미학
2018 .03
어머니ㆍ62 : 여백 하나가
시조시학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