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성서조선」그룹이 민족주의적인 불온단체로 간주되다
Ⅲ. 서대문 형무소에서의 수감생활
Ⅳ. 불기소 처분의 이유
Ⅴ. 서대문형무소에 마지막까지 수감된 이들은 모두 몇 명이었는가
Ⅵ. 결론
참고문헌
한글 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성서조선》과 김교신, 그리고 함석헌-1
씨알의소리
2024 .09
만공의 정신사와 총독부에서의 ‘禪機 發露’(1937) 사건
[TCHCCOS] 향토서울
2015 .10
여순사건 참가계층의 제유형
남도문화연구
2015 .06
정우회 국회의원 모리야 에이후(守屋榮夫)와 조선사회
인문논총
2022 .11
전시공간들에 재현된 여순사건의 기억과 활용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7 .05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제주 4・3 사건 서술 내용과 향후 집필 방향
탐라문화
2018 .01
[기획의 말] 시적 사건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 ― 시, 사건, (현)장
청색종이
2022 .03
대한기독교회(현 기독교한국침례회)의 우태호 사건 재평가
한국교회사학회지
2020 .01
사건 이후의 사건 – 촛불이 열어 놓은 시적 경로들
문학들
2018 .02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여순 10․19와 문학적 형상화
인문학연구
2019 .01
여순사건 연구의 현황과 쟁점, 그리고 과제
남도문화연구
2021 .01
사건과 어긋남, 혹은 시는 사건과 어떻게 관계하는가?·2
문학들
2018 .02
사건과 어긋남, 혹은 시는 사건과 어떻게 관계하는가? · 1
문학들
2017 .12
김교신의 일기 연구: 삶에 대한 그의 철학과 그 구현 형태
신학논단
2018 .06
3․1운동 관련 서대문형무소 수감자 현황과 특징
인문과학연구
2018 .01
1차인민혁명당사건과 도예종의 활동
대구사학
2018 .01
1930년대 전반기 '전북교원사건'의 구성과 재해석
역사학연구
2020 .01
‘망각(忘却)’과 ‘비등(沸騰)’의 공존 - ‘여순 10⋅19사건’ 이후 전남 동부 지역민들의 ‘기억투쟁’ 고찰
탐라문화
2023 .03
공해(公害)사건 문학의 시스템 및 가치 고찰 – 일본의 공해사건과 문학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
2017 .01
8.18 판문점 사건, 계획된 도발인가, 우발적 사건인가?
인문학연구
2021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