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머리말
Ⅰ. 전쟁사의 재현 속에 나타나는 임진강 다리들: 임진강 철교 및 기러기 다리와 “The United Nations Forces Cross the 38th Parallel”
Ⅱ. “임진강의 정복자들”과 미 공병의 기술적 탁월함: “Engineer Mission”을 중심으로
Ⅲ. 건널 수 없는 다리와 건널 수 있는 다리: 문화영화 “아리랑다리”를 중심으로
맺음말: 임진강 다리에 붙여진 복수의 이름과 새로운 흐름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농다리
시조시학
2019 .03
끊어진 다리
수필미학
2016 .09
다리들
PAPER
2019 .09
비 내리는 농다리에서
수필미학
2020 .03
한ㆍ중 ‘다리’ 지칭어의 의미 확장 대조
한중인문학연구
2021 .01
[길에서 만난 풍경] 다리 밑 피서
월간 옥이네
2024 .09
글로벌 연대 프로젝트 〈세상을 잇는 그림책 다리〉
영어영문학
2018 .08
[마음의 풍경] 자시에 다리를 건너다
월간에세이
2023 .03
청조 발상지 악다리성(鄂多理城) 논의에 대한 재검토 : "둔화설’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6 .06
드리나강의 다리 외 1편
시조시학
2020 .06
고대 임진강 유역 교통로의 운영과 성격
동서인문학
2024 .08
1930년대 제국일본의 과학기술과 생존양식 - 영도다리의 사회적 기능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04
옛 지명 복제(卜梯)의 어원 연구
동양학
2021 .01
따스하게 즐기는 특별한 경험_단양 다리안 온(溫) 축제 외
여행스케치
2025 .02
드러난 다리 ― 엣세이 崔承喜 1
청색종이
2022 .06
종교적 신화와 역사적 유산: 성 코스마스와 성 다미안은 어떻게 외과 의학의 수호성인이 되었나? - 「검은 다리의 기적」에서 21세기 이식의학까지 -
의사학
2020 .04
신라 다리를 활용한 ‘경주다리밞기' 축제화 방안
공연문화연구
2015 .08
1930년대 부산의 "영도다리" 건설과정을 둘러싼 자본가와 노동자의 생존양식
일어일문학
2023 .05
어린이책의 다리 : 혼돈 속에서 발휘된 상상력과 어린이의 읽기권
창비어린이
2021 .06
미군의 대한원조 영상 속에서 재건되는 전후 주체: The Big Picture 시리즈의 ‘미군대한원조’와 ‘한국과 당신’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2021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