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발간사]
[목차]
표 목차
그림 목차
[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내용
4.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의 개념적 검토]
제1절 상생형 지역 일자리 개요
제2절 광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
제3절 기존 유사 모델
제4절 학술적 개념: 중위 코포라티즘
제5절 노동조합 재활성화 관련 논의들
제6절 소결
[제3장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해외사례]
제1절 기존의 주요 해외사례
제2절 노동조합의 과제 관련 해외사례
제3절 소결
[제4장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국내사례]
제1절 상생형 지역 일자리 추진 현황
제2절 상생형 지역 일자리 거버넌스 설문 조사
제3절 상생형 지역 일자리 심층 사례 연구
[제5장 결론]
제1절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발전 방향
제2절 상생형 지역 일자리와 노동조합의 과제
[참고문헌]
[부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역 일자리, 상생의 길을 찾다』 - 지역 상생형일자리 사업 -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21 .11
지방소멸 시대의 상생형 지역일자리
비판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2 .11
[상생] 상생이 답이다! : 지역 농민과 상생하는 유통업계
넥스트 이코노미
2024 .07
[일자리] 지역혁신 일자리 모델 안동형 일자리를 배우자!
지방정부
2023 .12
지역청년 일자리정책 과제
지역산업과 고용
2022 .06
지역과 상생하는 ‘참 좋은 너란 관광’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대회
2019 .12
괜찮은 일자리는 줄었는가
고용동향브리프
2023 .06
경남 뿌리산업의 고용 현황과 밀양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지역산업과 고용
2023 .09
광주형 일자리의 의의, 쟁점과 과제
노동N이슈
2019 .04
상생형 지역일자리 전망과 노사정의 사회적 연대책임
노동N이슈
2019 .10
공무직 현황과 노동조합의 과제
연구총서
2020 .12
일터혁신과 노동조합의 과제
연구총서
2019 .01
노동조합과 노동통계
연구총서
2019 .05
[기고] 노동조합의 코로나 19 극복방안, 노동조합 사회연대전략
노동N이슈
2020 .06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지역일자리 모델 사례 연구
연구사업보고서
2022 .12
공간정보, 상생의 길을 찾다
국토
2019 .05
탄소중립과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노동조합의 과제
연구총서
2022 .12
노동조합 지역정치의 현황과 과제 - 한국노총을 중심으로
연구총서
2022 .12
유통 상생 모델 Introduction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2
4차 산업혁명 시대 노동조합의 역할은? :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노동조합의 인식과 대응실태
노동N이슈
2018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