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글요약〉
Ⅰ. はじめに
Ⅱ. ⼤正蔵本の底本·校本
Ⅲ. 日本伝存の古写本、 古刊本
Ⅳ. おわりに
参考文献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방과 후 강사 외 2편
황해문화
2018 .03
쇼묘지(稱名寺) 소장·가나자와(金澤)문고 관리 원효 『기신론별기』의 기초연구
한국사상사학
2017 .01
‘에이브 문고’는 내게 창문이었다
창비어린이
2016 .06
강사법과 대학의 현재
문화과학
2019 .09
강사의 오늘
청색종이
2022 .09
우방문고 『학무국 관계자료』의 구성과 내용
사학연구
2025 .03
「조일수호조규」와 표류민 송환의 변화
공존의 인간학
2021 .02
[여는 글] 돌봄과 나눔, 희망의 전사
월간 옥이네
2024 .07
History of Japanese-Korean Relations Series : History of Japan-Korea Relations (1965-2015): Politics [日韓関係史1965-2015: I. 政治], by Kimiya Tadashi [木宮正史] and Lee Won Deog [李元徳]. Tokyo: Tokyo University Press, 2015. 450 pp., History of Japan-Korea Relations[日韓関係史1965-2015: II. 経済], by Abe Makoto [安倍誠] and Kim Do Hyung [金都亨]. Tokyo: Tokyo University Press, 2015. 472 pp., History of Japan-Korea Relations (1965-2015): Society and Culture [日韓関係史1965-2015 III. 社会・文化], by Isozaki Noriyo [磯崎典世] and Lee Chong Koo [李鐘久].Tokyo: Tokyo University Press, 2015. 480 pp.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5 .12
소눌 노상직의 서당교육과 서당교육자료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 소눌문고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022 .06
身延山と東アジア仏教の至宝
불교학리뷰
2017 .01
영남대동법 시행 이후 대동세 배분방식의 변화와 儲置米 운영
역사학보
2015 .03
권력에 관한 세 가지 독법 - ≪玉米≫小考
중국어문논총
2016 .04
강의보다 ‘연대’, 강사보다 ‘동료’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0 .03
평화와 공존을 말하다 : 창비아동문고 300권 기념 동화집 『우리 함께 웃으며』 『우리 여기에 있어!』 창비 2019
창비어린이
2019 .06
金澤文庫보관 사본 鮮演『華嚴經談玄決澤』의 문헌학적 의의
한국불교학
2016 .01
초기 재일조선인 선교에 대한 재고찰 : 미국 선교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7 .09
루쉰의 「이런 전사(這樣的戰士)」 - “없는 물건의 진법(無物之陣)”에 맞서는 필패의 전사
중국학
2024 .09
시가(滋賀)교구 정토종 청년회의 `오우미쌀(近江米) 한 되 운동`에 대해 : 사찰의 지역사회 공헌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12
인류세에서의 다면적 대화분석과 전사 원칙
통일인문학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