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上杉智英 (京都国立博物館)
저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불교학보 불교학보 제94집
발행연도
2021.3
수록면
89 - 117 (29page)
DOI
10.18587/bh.2021.3.94.8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현재 일본에서는 대정신수대장경(⼤正新修⼤藏經)에 수록된 법장(法藏) 『기신론의기(起信論義記)』를 표준 텍스트로 연구하고 있다. 이 대정장본 텍스트의 저본은 원록(元禄) 12년 간본이며, 대교본은 『대일본속장경(⼤日本續藏經)』본인데, 이 대일본속장경본은 중국 양원훼이(楊文會)가 경안(慶安) 4년판을 교정한 텍스트이다. 그러한 사실은 대정장본에 채록된 『대일본속장경(⼤日本續藏經)』과의 교이를 경안(慶安) 4년판과 비교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이다.
한편 이 에도시대 판본에 기초하여 유통되는 표준 텍스트보다 원본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가마쿠라(鎌倉)시대의 고사본 및 고간본 6점의 개요를 소개하여 그것으로부터 일본에서의 법장 『기신론소』의 고형 및 유전의 일단을 밝혔다. 각각 고산사(⾼山寺), 존승원(尊勝院), 가나자와문고(⾦澤文庫), 미노부문고(身延文庫), 구미전사(久米田寺). 금강사(⾦剛寺)에 유전되는 사본과 판본들이다.
이들 중 고산사 사본은 현존하는 『대승기신론의기』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며, 가나자와 문고본과 미노부문고본은 『법장소』 최초의 판본을 전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 구미전사 및 금강사의 사본은 법장의 『기신론소』가 2권에서 3권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밝혀준다는 점에서 각각 중요하다. 이러한 정보들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법장소』의 교감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한글요약〉
Ⅰ. はじめに
Ⅱ. ⼤正蔵本の底本·校本
Ⅲ. 日本伝存の古写本、 古刊本
Ⅳ. おわりに
参考文献
〈Abstract〉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220-001617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