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전한호 (경희사이버대학교)
저널정보
서양미술사학회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제54집
발행연도
2021.2
수록면
43 - 60 (18page)
DOI
10.16901/jawah.2021.02.54.04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힘센 여인(Weibermacht)’은 남성에 대한 여성의 승리를 주제로 한다. 이는 특히 북유럽 르네상스 문학과 미술에서 토포스를 이룰 만큼 유행했다. ‘힘센 여인’은 역사와 신화, 성경으로부터 모티프를 얻어 영웅이나 현인들을 좌절된 욕망의 이미지로 다룬다. 몇몇 주제들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녀 역할의 반전이라는 점에서 코믹한 요소를 포함하기도 한다. 〈바지 싸움〉과 같은 작품에서 아내가 남편을 폭력으로 제압하기 위해 가정생활의 전통적인 상징인 실감개를 이용한다. 남편은 바닥에 떨어진 바지를 잡으려 안간힘을 쓰는데, 여기서 바지는 남성의 권위, 여성에 대한 우위를 상징한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필리스〉에서는 그리스의 철학자가 유혹적인 필리스에게 빠져 굴욕적인 봉사를 한다. 또 다른 역할의 반전을 이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데, 아리스토텔레스가 말이 된 모습에서 유혹에 빠진 인간이 짐승이 된 은유를 발견하게 된다. ‘힘센 여인’이란 주제는 대체로 판화로 제작되어 유포되는데, 이를 통해 대중적 유행을 이룰 수 있었다. 수집가들을 위해 제작된 판화 외에도, 독일의 몇몇 시청사 벽에는 이와 같은 주제의 그림들로 장식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들 또한 일반 대중의 계몽을 위한 것이었다. 사회적 문화적 격변기로 특정되는 16세기 초반에는 예술작품이 점차 사회적 도덕을 증진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사제를 공격하는 여인들〉과 같은 작품은 종교개혁 시대에 가톨릭에 대한 비판을 담아 사제의 독신주의에 대한 문제점을 폭로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힘센 여인’의 지배: 〈바지 전쟁〉
Ⅲ. ‘힘센 여인’의 관능성: 〈아리스토텔레스와 필리스〉
Ⅳ. ‘힘센 여인’의 폭력: 〈사제를 공격하는 여인들〉
Ⅳ.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609-001586322